스페셜
"DNA"(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Schraiber, J. G., Wolf, A. B., Gittelman, R. M., ... & Scheinfeldt, L. B. (2016). Excavating Neandertal and Denisovan DNA from the genomes of Melanesian individuals. Science, 352(6282), 235-239. -Simonti, C. N., Vernot, B., Bastarache, L., Bottinger, E., Carrell, D. S., Chisholm, R. L., ... & Li, R. (2016). The phenotypic legacy of admixture between modern humans and Neandertals. Science, 35 ...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2019.12.07
- 숙명 엑손 유전자의 약 1%가 암과 관련된다. 대략 350개 정도다. 세포 분열이 일어나면 DNA가 복제되는데 복제는 필연적인 오류를 부른다. 염기 하나가 잘못 복제될 가능성은 대략 1.8×10-8에서 2.5×10-8 수준이다.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누적되면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자연선택을 통해 오류를 찾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2019.12.03
- 황금쌀 개발 성공 1990년 스위스 연방공대의 식물유전학자 잉고 포트리쿠스 교수는 DNA재조합 방법으로 쌀의 배젓에서 베타카로틴이 만들어지는 유전자변형 벼를 만든다는 구상을 하고 박사과정 학생인 페터 부르크하르트에게 학위논문 프로젝트로 맡겼다. 그러나 구체적인 아이디어는 없었고 ...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매개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9.11.30
- “분석 결과 시민과학자들끼리 서로 잘못된 종 정보를 수정해주기 때문에 그 결과가 DNA 분석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건 한국 도롱뇽 4종 중 2016년 처음 동정된 제주도롱뇽 1종뿐이며 그건 시민과학자들이 새로 동정된 종 이름을 몰랐기 때문”이라며 ...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2019.11.16
- 분석하여 분화된 시점을 조사했다. 다양한 지역에 사는 40여 마리의 몸니와 머릿니의 DNA를 비교하여 계통수를 추정하고 분기 시점을 찾았다. 연구 결과 약 8만 년 전부터 17만 년 전 사이였다. 호모 사피엔스가 분화된 이후다. 아마 호모 사피엔스는 분명 옷을 입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처음으로 인류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류 '유전자'는 로마로 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11.10
-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팀은 29개의 고대 로마 유적지에서 127개의 DNA를 추출했다. 이 DNA를 통해 1만2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추출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선사시대에 로마인의 유전적 변화가 농업시대와 청동기 시대가 시작할 때 크게 두 번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2019.10.22
- 시료에 남은 단백질의 패턴을 분석해 정보를 얻는다. 보존 상태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DNA는 수십만 년, 단백질은 수백만 년이 지나면 염기나 아미노산의 서열을 분석할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된다. 따라서 수천만 년도 아니고 수억 년 전의 화석에 남은 단백질의 정보를 얻는다는 건 말이 안 되는 것 ...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8
- 말했다. 참여한 연구자들도 신선한 생각을 해 본 계기라고 입을 모았다. “DNA 서열과 유전체의 후성유전적 암호 패턴만으로 생명체의 미래를 얼마나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를 제안해 최우수 질문에 선정된 민혜성 씨(생명과학과)는 “생각만 하던 질문을 구체화해 내가궁금해했던 것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2019.10.08
-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에너지가 더 큰 자외선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에너지가 큰 빛은 DNA를 손상시키므로 몸에 해롭다. 초파리가 파란빛을 피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초파리의 생태 적응으로 해석되는 하루 24시간 주기의 선호도 차이에 생체시계가 정말 관여할까. 하루 동안 초파리의 조명 색 선호도 ... ...
- 노벨생리의학상 과학자들, 산소에 적응하는 세포 신비 밝혀 암치료 길 열다(재종합)2019.10.07
- 분해되지 못하고 세포핵 안에 쌓인다. ARNT와 결합해 저산소증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특정 DNA 부분(HRE)에 붙는다(1). 산소 농도가 정상적일 때는 HIF-1알파는 프로테아좀이 빠르게 분해시킴. 산소는 하이드록실기(-OH)를 HIF-1알파에 붙여서 조절한다(3). 그리고 VHL 단백질은 HIF-1알파와 복합체를 만들어 산소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