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활줄
활시위
끈
행렬
열
시위
스페셜
"
현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바른미래당이 4일 공개한 ‘공공기관 친문 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
현
황’ 중 과학기술 분야에서 부적절 인사 의혹을 받은 기관별 직위에 대한 바른미래당 측의 주장 근거와 팩트 체크. - 자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등장할까? 그러나 지금까지 무수히 경험했듯이 동물실험 결과가 사람에서도 그대로 재
현
될 거라고 낙관해서는 안 된다. 미국 프린스턴대의 셴 후이와 조수아 라비노비츠는 ‘네이처’ 같은 호에 실린 해설에서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생쥐와 사람은 덩치 차이가 크다. 즉 몸이 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분리돼 플라스마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원자핵에 묶여 있는 전자가 빛을 흡수하는
현
상이 일어날 수 없다. 반면 산소의 경우 원자핵의 양성자가 여덟 개나 되기 때문에 따뜻한 온도 정도로는 전자 여덟 개를 다 떼어낼 수 없다. 즉 가장 안쪽의 전자 두 개는 남아 산소 이온의 형태(O+6)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
2018.05.19
그렇다. Loyola University의 심리학자 Robyn K. Mallett의 연구에 의하면 여러가지 이유로
현
재 사회의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고 싶어하는 사람들, 즉 체제 유지 동기가 큰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사회적 문제가 드러나면 드러날수록 더 ‘우리 사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생각을 ... ...
도시 곳곳에 과학자 거리-연구단지… “평양이 달라졌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만경대경흥식료공장, 평양화장품공장 등 평양 시내 주요 사업장 20여 곳이 자동화,
현
대화됐다. 김책공업대학 등 평양 시내 주요 대학은 사이버 대학과 유사한 원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휴대전화 보급률은 2015년 말 기준 12.9%(약 324만 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만경대기술정보사가 출시한 스마트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사랑해서 죽였다? “사랑해서 그랬다”는 변명을 흔히 들을 수 있다. ‘그랬다’에는 심한 집착과 구속,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거나 염산을 붓는 일, ...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현
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높이는 일제 강점기 때 2744m로 측정됐지만,
현
재 2750m로 수정됐다. 약 1000년 전인 기원후 946년 화산폭발지수 7에 달하는 대폭발을 기록한 바 있다. 화산학자들은 화산폭발지수 7 이상의 화산을 슈퍼화산이라 부른다. 특히 백두산의 폭발은 새로운 천년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스트레스 직후 몇 분 동안만 강한 이완효과가 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이는 매우 중요한
현
상으로 보이는데, 순간적인 화나 충동을 억누르지 못해 싸움이나 자살, 범죄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파란빛 조명이 범죄율을 3분의 1이나 줄인 것도 이런 효과 때문이 아닐까. 빛의 스트레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 이는 해저 퇴적물에 방사성핵종이 꽤 있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와 맥을 같이하는
현
상이다. 특히 원전 항구에서 잡은 저서어류(갈색 x)의 경우 여전히 수만 베크렐이 찍히는 개체가 잡히기도 한다. 논문에 따르면 원전 항구 둘레에 그물을 설치해 저서어류들이 이곳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연주자들의 손을 클로즈업한 화면이 눈길을 사로잡았는데
현
을 짚고 건반을 두드리는
현
란한 손놀림이 경이로웠다. 세 사람의 연주를 지켜보다 문득 ‘인간이 손을 능숙하게 사용하게 진화했다지만 저 정도로 정교한 손놀림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손놀림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