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스페셜
"
빛
"(으)로 총 912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위성 '유로파', 태양
빛
반사하는 달과 달리 자체 발광
연합뉴스
l
2020.11.10
담당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사선 장비로 실험실에서 포착한 것과 같은
빛
을 실제 포착할 수 있을지를 검토 중이다. 유로파를 덮고 있는 얼음의 소금 성분을 알 수 있으면 빙점이나 얼음의 두께, 얼음 밑 대양의 생명체가 서식 가능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관한 공학 송 교수는 동물눈 카메라 외에 다양한 소자와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주로
빛
을 물질 표면의 미세한 구조물을 통과시키는 방법 등으로 조절해 진로를 바꾸거나 에너지를 다른 곳에 전달하는 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재료를 결합해 인체 표면에 부착하거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범위에서 광학 분석을 통해 베누 표면 성분을 분석한 연구다. 물질에 따라 흡수하는
빛
의 파장이 다른데 유기물질과 탄산염이 흡수하는 파장 그래프를 만들어 베누의 데이터와 비교했다. 연구팀은 베누 전체에 탄소 성분이 있다는 점과 함께 물을 포함한 필로규산염 광물이 광범위하게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시공간 내의 모든 관찰자(시간꼴 궤적)와 갇힌 표면 사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빛
의 궤적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대역적 결론). 논증을 더 이어가면 국소적 결론과 대역적 결론으로부터 모순을 도출해낼 수 있고, 그러므로 가정은 참일 수 없다. 이 결론들은 물리학적 내용을 담고 ... ...
[과학자의 서재]노벨상 수상자의 삶에서 ‘책’을 찾아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된 수상자도 있다. 미국의 물리학자인 로이 글라우버는 양자 광학 이론을 이용해
빛
의 결맞음 이론을 정립한 공로로 200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어린 시절 미국의 빈민가인 브롱스에서 살았던 글라우버는 자주 외출할 수 없어 책이 심심함을 달래줄 유일한 ‘구원자’였다. 글라우버는 근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볼 수 없는, 보라색보다 파장이 약간 짧은
빛
을 볼 수 있다고 결론 내리고 이 영역의
빛
을 ‘자외선(ultra-violet ray)’이라고 불렀다. 그럼에도 이는 몇몇 절지동물에서 보이는 예외적인 현상일 뿐 인간은 후각을 희생한 대가로 뛰어난 시각과 청각을 지닌 존재라는 ‘믿음’이 100년 동안 이어졌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곁에 있으면 덜 아픈 이유
2020.10.31
제공 언제부턴가 머리가 심하게 아프고 어지러움과 함께
빛
에 눈이 따갑거나 물건이 살짝 겹쳐 보이는 증상들이 나타나면서 병원을 찾았다. 진단결과 편두통(migraine)이라고 했다. 두통과 함께 신경학적 증상들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편두통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하지만 자가 진단은 금물. 반드시 ... ...
138억년 전 별도 행성도 없던 우주에서 들려온 기괴한 소리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선보였다. 중심의 밝은 부분이 두 개의 눈을 연상케 한다. 호박색을 띠는 가장자리 붉은
빛
은 오래된 별을, 중간의 밝은 부분은 은하계 중심 블랙홀에 집중된 별들을 보여준다. 이들은 지구로부터 1억 2000만 광년 떨어졌다. 호박의 지름은 약 10만 9000 광년으로 우리 은하 지름과 비슷하다. NASA는 ... ...
울산과기원, 양자 연구·소자 개발 전담할 연구소 개소
연합뉴스
l
2020.10.30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소식을 열었다. 양자 포토닉스 연구소는 양자 단위의
빛
과 물질 간 상호 작용을 연구해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양자 소자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개발될 양자 소자는 라이다, 초고감도 광학 센서, 바이오 이미징 및 검출, 초집적 메모리 등 4차 산업의 핵심 ... ...
우리은하에서 지구만한 ‘나홀로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천체의 중력으로 인해 배경별의
빛
이 왜곡돼 증폭되는 현상을 관측하게 된다. 배경별의
빛
이 증폭되는 양과 지속 시간을 분석해 나홀로 행성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천문연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한 외계행성 탐색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