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스페셜
"
미생물
"(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우리나라 연안에서 일어나는 적조가 대표적인 피해사례다. 그림 2. 적조현상을 일으키는
미생물
들. 1~5는 와편모조류, 6~7은 규조류다. 이번 연구에서 검출할 수 있던 생물들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와편모조류의 유입과 확산을 면밀히 감시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특정 미세조류의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통해 해양바이오 산업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온실 내부에 설치된
미생물
조류배양수조. 미세조류는 바이오연료 및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기관의 중요한 연구 재료다.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에서는 기후변화 및 해양환경변화를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해 제주 및 ... ...
해양생물도 자원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통해 다양한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심해 열수구 주변에 서식하는 해양
미생물
과 극지지역의 생물자원에 대한 정보도 착실히 쌓아나가고 있다. 다만 현재의 연구 동향은 거시적인 데이터 축적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는 한계가 있다. 당장 활용가능하고 국민경제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
2015.11.09
호메시스 작용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실 에탄올은 효모가 주위
미생물
을 죽이기 위해 만들어 내는 독소다. 과음을 할 경우 사람도 배겨나지 못하는 이유다. 그런데 반주로 소주를 몇 잔 마시면 오히려 우리 몸의 스트레스 대응체계를 자극해 건강에 이로운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진행되고 있다.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유상렬 교수팀은 학술지 ‘응용․환경
미생물
학’ 최근호에 크로노박터라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파지를 발견해 게놈을 분석하고 식품에 적용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크로노박터가 오염된 분유를 먹은 아기들은 균혈증, 뇌수막염, 괴상성장염 등 심각한 ... ...
세계에서 가장 큰 섬 그린란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녹으면서 어두운 부분이 확대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전에 없었던 먼지나 검댕,
미생물
같은 불순물이 눈에 들어가 그린란드의 눈을 검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눈은 기존의 눈에 비해 햇빛 반사율을 떨어뜨려 햇볕을 더 많이 흡수한다. 흡수된 열은 그린란드의 빙하를 더 빨리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관심을 보였고 기타자토연구소와 머크연구소 사이에 다리를 놓아줬다. 오무라는 토양
미생물
가운데서도 스트렙토미세스속(streptomyces)에 관심이 많았는데, 유명한 항생제인 스트렙토마이신도 여기서 발견했다. 오무라는 수천 가지 시료에서 유효 물질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50여 균주를 골라 ... ...
새집으로 가기 전 ‘베이크 아웃’ 하세요~
KISTI
l
2015.09.08
했다. 새로 지은 건물뿐만 아니라 오래된 건물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면서
미생물
과 곰팡이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그래도 공통점이 있었다. 바로 ‘환기 부족’이었다. 실내 공기가 오랫동안 정체돼 있으면 유해성분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병든 건물 증후군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효모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효모는 일반 가정집에서도 쉽게 배양할 수 있는
미생물
이기 때문에(포도주스를 사서 이스트(효모)를 넣고 방치(!)하면 포도주가 된다), 만일 이런 균주가 유출될 경우 마약과의 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리터에 모르핀 10mg을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하지만 이건 양(강도)의 문제일 뿐 인류가 애초에 에탄올과 향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미생물
을 이렇게 변화시킨 건 아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합성생물학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2부에서는 진정한 마이크로공장으로 변신하고 있는 효모에 대해서 다룬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