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끝"(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2020.07.28
-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달라붙기만 하는 TALE를 두 개 만들어 각각에 DddA 조각을 붙였다. 끝으로 여기에 UGI라는, 우라실(U)을 다시 C로 바꾸는 효소를 억제하는 단백질을 붙였다. U는 DNA를 이루는 염기가 아니라서, 미토콘드리아에는 게놈의 DNA에 U가 있을 경우 C로 바꾸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 ...
- 러시아발 부산항 입항 첫 환자부터 방역망 붕괴 위기까지동아사이언스 l2020.07.24
- 먼저 내린 전 선장이 확진 판정을 받은 사실이 선사로 알려지면서 뒤늦게 검사를 한 끝에 발견했다. 정부는 지난달 24일에야 모든 러시아 선박에도 승선검역을 하기로 했다. 하지만 승선검역도 한계가 있었다. 이달 24일 32명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페트로1호는 지난 8일 입국 당시 승선검역을 ... ...
- 꼼꼼히 따지고 고민했더니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증설 찬성률 올라갔다 동아사이언스 l2020.07.24
- 더 짓는 방안을 추진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월 10일 맥스터 추가 건설안을 표결 끝에 의결했다. 추가 건설되는 맥스터는 기존 맥스터와 동일하게 16만8000다발의 다 쓴 핵연료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기존 맥스터가 포화되기 전까지 맥스터를 안정적으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2020.07.23
- 불린다.)이었다. 백조자리는 북십자성으로도 불린다. 백조의 꼬리, 또는 십자가의 위쪽 끝에 해당하는 별이 데네브이고 데네브와 십자가의 왼쪽 팔 사이에 61번별이 있다. 베셀이 관측한 연주시차는 약 0.31초였다. 1초 각도는 1도 각도의 3600분의 1이다. 앞서 말했듯이 지구에서 보름달, 또는 태양을 ... ...
- 코로나바이러스의 침투 무기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 바꿔 면역 회피한다동아사이언스 l2020.07.22
- 전과 후에 다른 형태를 보였다. ACE2 수용체를 만나기 전 스파이크 단백질은 기존에 알던 끝부분이 더 두꺼운 돌기 형태를 보였다. 반면 결합 후에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좀 더 길쭉하면서도 단단한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변이가 ACE2 수용체와 결합하기 ... ...
- 4개국 주도 화성클럽 판 깬 아랍의 강소국동아사이언스 l2020.07.20
- NASA)의 퍼시비어런스 로버, 2022년 발사될 유럽과 러시아의 엑소마스2022 프로젝트가 끝나면 같은 해 일본이 화성에 테라헤르츠마이크로위성을, 2024년에는 인도가 망갈리안2호, 일본이 화성 달탐사선(MMX)를 쏘아 올린다. 2022년부터는 민간기업인 스페이스X가 현재 개발 중인 대형우주선 스타십과 화성 ... ...
- [표지로 읽는 과학]나이를 먹으며 바뀌는 뇌 시냅스의 복잡성동아사이언스 l2020.07.19
- 변화하는 쥐의 뇌의 시냅스 모습을 17일 표지로 실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의 신경돌기 끝이 다른 신경세포와 접합하는 부위다. 시냅스를 통해 한 신경세포의 흥분을 다음 신경 세포로 전달한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간 소통창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표지 상단에 있는 그림이 생후 하루가 ... ...
- 인공지능 기반 공정 최적화 연구로 금형 주조 불량률 절반 줄였다동아사이언스 l2020.07.17
- 적게 나오는 공정 조건을 도출하는 군집 분류 분석을 수행했다. 여러 번 시행착오 끝에 양품과 불량에 꼬리표를 달아 일일 불량률과 정해 놓은 장비 설정 값의 관계를 분석해 불량이 발생하는 조건들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황 박사는 매일 집계한 불량률과 공정 조건이 미세하게 변하는 추이를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2020.07.16
- 하는가”를 묻는 루즈벨트 대통령의 질문에, 젊은 공학자 배너바 부시는 《과학, 끝없는 프론티어》라는 보고서로 답한다. 그 보고서에서, 배너바 부시는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이 의료와 산업 등에 사용되는 원천기술을 발굴하는 중요한 투자라고 대통령을 설득했고, 그의 선형적 발전론은 이후 ... ...
- 제조 공정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향한 융합기술 가치 내걸었다동아사이언스 l2020.07.16
- ” 남창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소장은 융합기술이 나가야 할 길의 끝에는 결국 ‘사람’이 있다고 설명했다. 융합기술연구소 목표가 사람 중심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생활에 적용하는 연구에 있다는 것이다. 남 소장은 섬유 염색과 가공 관련된 연구를 주로 해온 섬유기술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