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스페셜
"
국내
"(으)로 총 49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센터장=기업 규모는 한국 정부도 아주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국내
제약기업 통폐합에 관심이 많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연 매출 3조~5조 원 규모의 제약사를 만들자는 정책을 기획한 적이 있다. 물론 M&A는 정부 주도가 아니라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원칙은 지켜야 한다.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이하 BIO)’의 한국관을 기획·조직했다. 바이오 기업 273곳을 회원으로 둔 협회는
국내
바이오산업을 대표하는 단체다. 이번 행사의 한국관에는 경기도 등 3개 지방자치단체, 솔젠트 등 9개 기업,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참여했다. 행사 기간 내내 분주하게 일정을 소화하던 서정선 협회장을 28일 오후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정부 주도로 20년간 성장했던 생명과학 분야 연구성과가 이제 빛을 보면서
국내
바이오가 산업화 단계로 진입한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임상 수행 건수로 한국은 세계 2위다. 전 세계에서 신약을 만들면 임상을 맡기기 위해 한국으로 몰려든다”며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단백질 등 모든 생명 현상이 생명과학자들의 연구 주제이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
국내
생명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아직도 미국 등의 선진국과 많게는 10년 이상 차이가 난다”며 “모든 분야를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가능성 있는 분야를 선택해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이번 행사는 전 세계 잠재고객을 만나 본격 영업에 들어가는 시발점인 셈이다. 이를 두고
국내
업계 관계자는 “꽤 무리가 있는 전략처럼 보이지만 삼성이라는 브랜드로 밀어붙이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대표는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의 까다로운 조건을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넘는
국내
외 특허 출원, 등록을 이뤄냈다. 그가 운영했던 ‘식물추출은행’에는 현재
국내
식물 2000여 종, 해외 식물 1만여 종이 있다. 이렇게 얻은 식물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신약 개발 사업도 진행했다. 한 과학자에게 단장을 맡기고 연구비 집행 등 과학자가 일괄 진행하는 체제를 도입해 10년간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타깃으로 할지 선택이 필요하다. 중국이 곧 의료보험을 실시하고, 2020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
총생산(GDP)이 미국 수준으로 올라선다. 10년 뒤 중국이 헬스케어에 쓰는 돈은 1000조~2000조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여기에 인도, 동남아까지 포함하면 3000조원 가까이 된다. 아시아의 엄청난 수요를 감당할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세계적인 선도그룹과의 경쟁이 가능할 것입니다.” 현택환 교수의 ‘이것만은 꼭!’ △
국내
의대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려면 임상의학 연구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예측 가능한 국가 연구지원 체계를 갖춰야 한다. 현택환 교수는 - 1983년~1987년 서울대 화학과 학사 - 1987년~1989년 서울대 대학원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폭넓은 실무경험을 갖고 있는 생명공학 전문가로 평가 받는다. 이 교수는 인터뷰 내내
국내
생명공학분야의 발전을 위해 기초연구개발에 대한 성과 위주의 평가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마치 공사 발주하듯 계약에 의해 정량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일정 기간 내에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03년 스웨덴 과학자 100여명과 함께 ‘인간 단백질 아틀라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후
국내
를 비롯해 인도 중국 등의 연구진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찾아낸 단백질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2005년 다국적 연구진이 찾은 단백질 수는 650개였지만 지난해 말까지 찾은 단백질은 모두 1만11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