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술가
화백
예술가
예술인
예인
이즐
작가
뉴스
"
화가
"(으)로 총 498건 검색되었습니다.
‘결핵 산후조리원’ 신생아 검사… 57명중 13명 보균 양성 판정
동아일보
l
2015.09.15
이용했던 김보미 씨는 “아이가 밤에 고열이 나면 눈물로 지새우는데 알면 알수록 너무
화가
나고 불안하고 무섭다”고 말했다. 아직 생후 12주가 지나지 않아 검사조차 받지 못한 신생아도 57명에 이르고, 부모와 연락이 닿지 않는 신생아도 6명이나 돼 앞으로 보균 양성 판정 신생아 수는 더 늘 ... ...
[광화문에서] 창조과학이라는 유사과학
과학동아
l
2015.09.08
아니다. 진화나 빅뱅에 맞설 학설로 대등하게 다뤄 달라는 주장에 이르면 그 파렴치함에
화가
날 지경이다. 자신 있으면 뒤에서 운동을 하지 말고 지식이 형성되는 장에서 논문으로 제대로 겨뤄 보라.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싶다면 그래야 한다. 창조과학 관련 과목이 연세대 공대에서 개설돼 ... ...
스트레스 많이 받으면 판단력 떨어진다
2015.08.05
차분한 성격이던 사람도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욱’하는 모습을 보일 때가 있다.
화가
나서 판단력이 떨어져 돌발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다. 스위스 연구진이 이같은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규명해 냈다. 스위스 취리히대 뇌과학센터 토드 헤어 교수팀은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면 뇌 속 조절기능이 ... ...
확 풀어 준다!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07.03
"center" src="http://image.dongascience.com/Photo/2015/07/1435910936303.jpg" width="650" height="312" /> 스페인의
화가
고야의 작품 . 16세기 수학자들은 마치 결투를 벌이듯 수학으로 상대방을 공격했습니다. - 프랜시스 고야(w) 제공 ● 허수 근도 문제 없어 카르다노의 공식은 단순한 풀이법 이상의 의미를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특집 표지를 그린 수 모간은 20년째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데 현재 많이 나았다고 한다.
화가
는 이 그림에서 뇌에서 일어나는 끔찍한 느낌을 표현하려고 했다고 한다. - 네이처 제공 이 기준을 예술가 1024명의 게놈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정신분열증과 조울증 모두에서 역시 대조군과 차이를 ... ...
천재와 정신병은 종이 한 장 차이?
2015.06.12
높은 곳에서 잠깐 내려다본 도시 전경을 마치 사진이라도 찍은 듯 재현해내는 자폐증
화가
스티븐 윌트셔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이런 천재성과 정신질환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테오도라 글리가 영국 런던대 심리학과 박사팀은 9개월 유아가 시각적으로 뛰어난 인지능력을 ... ...
쉬면서도 페이스북 자꾸 보고 싶은 이유는?
2015.06.09
수식을 볼 때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또 연구팀은 배내측전전두엽피질의 활성
화가
잘 되는 사람이 눈치도 빠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사람들이 설명문을 빠르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참가자 중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정상인보다 10배 정도 느리게 평가했다. 하지만 행동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보이지만 공포의 충격은 기억흔적(엔그램)으로 남아있었다는 말이다. 다만 기억공고
화가
방해를 받아 공포조건이 재현돼도 이를 기억흔적까지 연결하지 못해 쥐가 기억해내지 못했던 것이다. 치매나 사고 등으로 일어난 기억상실의 상당부분도 이와 마찬가지 메커니즘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
2015.05.31
종종 ‘이불킥’을 하게 되는 날이 있다. 이불킥은 이불을 덮고 누웠을 때 부끄러웠거나
화가
났던 기억이 떠올라 이불을 차는 행동을 말한다. 좋은 경험은 손가락 사이로 모래가 빠져나가듯 우리의 뇌를 스쳐지나가 버리지만 실수나 잘못과 같은 나쁜 경험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쉽게 ... ...
‘앵그리버드’의 몸은 왜 빨간색일까
2015.05.13
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연구를 이끈 롭 버튼 교수는 “사람이
화가
날 때 얼굴을 붉히는 것처럼 자연계에서 빨간색은 공격의 신호로 쓰인다”면서 “사람이 빨간색에서 분노에 해당하는 감정을 느끼는 것은 공격신호를 인지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팀은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