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4,005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1942년 10월 6일, 현대판 복사기 특허 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0.14
하지만 먹지는 늘 부족했고 시간도 오래 걸렸습니다. 그 무렵 칼슨은 헝가리의 물리
학자
폴 셀레니가 쓴 논문을 읽었습니다. 정전기를 띤 물질에 가루가 달라붙는 현상을 이용해 사진을 복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논문을 본 칼슨은 원본 문서에 적힌 글씨 모양대로 가루를 붙게 만든다면 ... ...
[과
학자
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
학자
의 인생
2023.10.12
사실 이번 노벨 생리의학상에 LNP 개발자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LNP 개발은 많은 과
학자
들의 공동의 작업이었기 때문에 한 두 명을 특정해 수상하기가 곤란하지 않았을까 싶다. ● 기초 과학의 가치를 다시 새기다 이번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은 과학적 발견과 더불어 인간적인 스토리까지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⑧전문가들 "낯선 용어 인지도부터 높여야"
2023.10.11
이론물리
학자
머리 겔만이 처음 명명했다. 비슷한 시기 쿼크의 개념을 떠올린 물리
학자
조지 츠바이크는 이를 두고 '에이스(Ace)'라고 명명했다. 이 교수는 "과학에서 만들어내는 용어는 전혀 낯선 개념"이라며 "전문용어는 처음부터 합리적으로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탄생하는 게 아니다"라고 ... ...
소행성 탐사는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23.10.08
소행성 채굴을 목표로 하는 기업은 계속 설립되고 있다. 스페이스X와 NASA에서 근무했던 과
학자
들이 2022년 1월에 설립한 미국 아스트로포지가 현재 가장 유명한 M형 소행성 채굴 스타트업이다. 아스트로포지는 백금, 팔라듐, 이리듐 같은 희귀 금속이 고농도로 분포해 있는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할 ... ...
[주말N수학] 테렌스 타오가 말하는 영재가 행복해지는 법
수학동아
l
2023.10.08
게임을 할 때 이기려면 여러 번 죽고 플레이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요." Q. 반대로 수
학자
로서 성공해도 큰돈을 얻을 수 없다는 것 아닐까요. A "그렇긴 하죠.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지 않다 보니 경쟁이 적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초전도체 때문에 세상이 시끄러운데요. 실제로 초전도체가 ... ...
[주말N수학] 두달간 휴가가도 문제되지 않는 '이곳'...수학의 도시 '프린스턴'
수학동아
l
2023.10.07
너무 많이 있어요.” 프린스턴대와 고등연구소를 짧지만 알차게 보고 돌아왔는데요. 수
학자
라면 왜 다들 프린스턴에서 연구하길 꿈꾸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간접적으로나마 프린스턴을 체험할 수 있었길 바랍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10월호,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어떤 사회에서든 가십은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사회적 스포츠 중 하나였다는 사실이다.
학자
들은 이러한 가십이 사실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한다고 본다. 우선 한 가지는 평판을 수정하고 처벌하는 효과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력을 휘두를 수 있어서 잘 보여야 하는 사람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처럼 실험에 서툴렀던 오펜하이머가 수많은 실험물리
학자
와 공
학자
들을 지휘하며 맨해튼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니 놀라운 일이다. 반수소를 만들고 물리 특성을 연구하는 알파 실험에는 현재 7개국 1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만일 오펜하이머가 반수소 프로젝트를 ... ...
[노벨상 2023] X레이의 DNA 파괴 순간 포착…'아토초' 시대 연 과
학자
들, 물리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실시한 실험에서 250 아토초 동안 빛의 파동을 유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헝가리 출신의 과
학자
인 크라우스 교수는 이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650아토초 동안 지속되는 빛의 파동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실제 전자의 움직임을 추적해냈다. 전문가들은 이들의 연구를 통해 ‘아토초 과학’ 시대가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에 '100경분의 1초' 아토초 펄스광 고안한 과
학자
3인 (2보)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순간'인 아토초(100경분의 1초) 펄스광을 포착하는 전자동역학적 실험 방법을 고안한 물리
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3일 20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 페렌츠 크라우스 독일막스플랑크양자광학연구소·뮌헨대 교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