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이클
순환
자전거
사이클
진동수
주기
순환기
뉴스
"
주파수
"(으)로 총 643건 검색되었습니다.
"땡큐 슈퍼맨~"…하반신 마비 환자들"두 발로 다시 걷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유발한다. 의료진은 수개월 이상 시간을 들어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정확한 전기자극
주파수
를 찾아냈다. 치녹 씨는 미국 의료기관 메이요클리닉에서 42주간 치료와 재활 훈련을 거쳐 보행기를 짚고 100m 넘게 혼자 걸을 수 있는 수준까지 회복했다. 토마스 씨도 루이빌대에서 15주간의 치료를 ... ...
“北 6차 핵실험 이후 발생한 여진, 3차례 더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대한 정밀도가 기존보다 높아졌다는 게 연구진 측의 설명이다. 이 기술은 기존 방식보다
주파수
가 훨씬 낮고 느린 지진파를 집중 분석한다. 샤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핵폭발 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뿐만 아니라 어떻게 지진이 촉발되는지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 ...
인공망막 품질 평가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다양한 저분자 물질을 검출하거나 측정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정
주파수
의 테라헤르츠파 신호를 골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바이러스나 생화학 저분자 물질 등을 ppm 수준(1mL 안에 나노그램(ng, 10억 분의 1g을 섞은 극히 적은 농도)에서도 검출할 수 있었다. 서 책임연구원은 ... ...
누르지 않아도 터치되는 ‘원격 햅틱’ 기술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햅틱은 최근 가장 주목받는 원격 햅틱 기술이다.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
보다 두 배 높은 40kHz(킬로헤르츠·1초에 4만 번 진동하는
주파수
)의 초음파를 200∼300개의 장치를 통해 동시에 허공으로 발사해 손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인공 촉감을 만든다. 실제로 경험해 보니 딱딱한 ... ...
[이강운의 곤충記]가을철 풀벌레소리 정취에 숨은 과학
2018.09.12
음파를 느끼는 사람의 귀처럼, 귀뚜라미도 고막으로 소리를 모으고 변환한 다음 그
주파수
를 분석한다. 단지 고막이 얼굴이 아니라 앞다리 종아리마디에 있을 뿐. 메뚜기 얼굴은 너무 작아 씹어 먹어야 할 큰 턱과 더듬이 그리고 커다란 눈으로 더 이상 공간이 없다. 게다가 청각 기관은 이들에게 ... ...
인공위성 통신효율 2배 높이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오덕길 ETRI 위성기술연구그룹 연구원은 “자체 기술력을 통해 위성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사용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 확보와 관련 장비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
피부에 붙이는 투명스피커와 마이크 현실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4
때 생기는 마찰력을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연구팀은 이 마이크를 이용해 목소리의
주파수
패턴을 읽어내고, 사람의 목소리를 구별하는 음성지문 보안시스템 구축하는데도 성공했다. 조 연구원은 “말하고 듣는 로봇이나, 음성 인식으로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만들 때 ... ...
12년 조연 마치고 퇴장하는 와이브로
2018.07.31
대한 적응력을 키웠고, 통신사들의 경쟁력도 높아졌다. 내년 초 반납되는 2.3GHz대
주파수
역시 와이브로를 통해 활용성이 검증됐고 다시 다른 용도로 쓰일 수 있다. 주목받던 통신망의 퇴장은 또 한 시대가 지나가는 이정표가 되는 듯하다 ... ...
[여기에 과학] 급증하는 몰카 범죄, 몰카탐지기로 막을 수 있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7.27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전파 수신 감도키를 조절하며 몰카의 위치를 좁혀가게 됩니다.
주파수
를 감별하는 수신기의 감도를 낮게 잡아 약 1m 반경 내에서 경고음이 울리도록 설정하고, 몰카가 있는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합니다. 그리고 감도를 높여 약 5~10cm 거리에서 울리도록 한 다음 경고음이 난 ... ...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
과학동아
l
2018.07.26
민감도가 17배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1V 정도의 낮은 전압과 1MHz(메가헤르츠)의 고
주파수
대역에서도 구동이 가능해 전압 문제와 노이즈 문제도 해결됐다. 박 교수는 “지문 센서에는 온도 센서와 압력 센서도 함께 탑재해 위조 지문과 실제 지문을 구분할 수도 있다”며 “휘어지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