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뉴스
"
위아래
"(으)로 총 1,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럼프, 존슨, 푸틴 당신들 덕분에 깨달았소. 의학교육의 중요성을…올해 엽기노벨상 (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밝혔다. 이들은 에탄올로 지렁이를 마취시킨 뒤 얇은 테플론 판 위에 올려놓고 판을
위아래
로 진동시켜 지렁이의 몸에서 어떤 파형이 생성되는지 확인했다. 수상자 중 한 명인 이반 막시모프 박사는 “지렁이 생체 실험은 연구 윤리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진행했다”며 “단지 재미로 ... ...
결장암 발병 원인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대장암의 일종인 결장암을 일으키는 중요한 돌연변이의 정체가 밝혀졌다. 윈트(Wnt)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 RNF43의 특정 변이가 Wnt 신호전달 억제 능력을 잃으면 암이 생긴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사진은 정상적인 RNF43을 지닌 세포(왼쪽)과 암을 억제하지 못하는 변이를 지닌 RNF43 세포(오른 ... ...
트럼프 노벨상 타긴 탔다. 엽기노벨상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악어에 헬륨 가스 먹여 울음소리 측정 팬데믹 정치에 이용한 정치지도자 9명 '의학 교육상' 경제 소득 높을수록 키스 자주해 2020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17일(현지시간) 온라인 생중계로 발표됐다. 2020 이그노벨상 시상식 생중계 캡처 국가별로 소득에 따라 키스 빈도는 어떻게 달라질까. 악어에게 ... ...
[쉽게 다시 풀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전문가들 "근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 바이러스가 조작됐다는 주장이 동료평가를 받지 않은 논문을 통해 제기됐지만 전문가들은 근거가 불명확하다고 비판했다. NIAID 제공 홍콩 출신의 생명과학자 옌리멍 전 홍콩대 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국 후베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옌리멍 전 홍콩대 연구원이 14일(현지시간) 데이터 공유 사이트에 올린 논문이다. 만 하루만에 40만 명 이상이 읽을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과학적 근거는 매우 약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생명과학자라도 관련 분야 전공자가 아니라면 그럴 듯하게 여길 수 있을 만한 내용이 담겼지만 ... ...
코로나19 사촌뻘 바이러스 대부분 1년내 재감염…'탈코로나19' 난항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코로나바이러스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모습(먼 그림)과, 인체 세포 침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오른쪽 앞)의 모습을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NIH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재감염 ... ...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우한 의료 폐기물 처리하는 용역업체 직원. 중국 우한의 한 산업 폐기물 처리 업체의 직원이 5일 의료 폐기물이 보관된 컨테이너를 소독하고 있다. 이 회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기 시작한 이후 산업 폐기물 대신 의료 폐기물 처리에 주력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제공 1 ... ...
[프리미엄 리포트]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2020.09.12
히든 크레바스는 절벽 위로 눈이 덮여 있어 맨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사진은 갑자기 절벽 아래로 눈이 떨어지며 모습이 드러난 히든 크레바스다. 극지연구소 극지기술개발지원부 제공 극지는 과학이 아직 명확히 밝히지 못한, 지구상에 몇 안 되는 미지의 영역이다. 변덕스러운 태양 활동에 가장 ... ...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2020년 한국은 이례적으로 긴 장마 기간을 경험했다. 이 같은 장마의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흔히 꼽히지만, 실제로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작도 대기의 내부 불안정성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훨씬 큰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아일보 DB 올해는 장마가 이례적으로 긴 해다. 1973년 이후 가장 길었 ... ...
블록 끼우듯 조립하는 제조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방식이다. 모듈은 매니퓰레이터와 리프트 등 총 7개로 구성됐다. 로봇은 7개 모듈을
위아래
로 조립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로봇에는 AI 기술과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활용해 작업자가 원하는 물건이 어디에 놓여있든 센서로 인식해 집어들 수 있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