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만큼 얇은 메타표면으로 빛의 특성 자유롭게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교수. KAIST 제공 KAIST는 신종화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빛의 세 가지 주요 특성인
세기
, 위상, 편광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유니버설 메타표면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단일 소자로 빛의
세기
, 위상, 편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은 현재까지 풀리지 않는 난제로 남아있다. 마이크로미터 ... ...
화학 실험실 반복 실험 대체할 로봇 등장..."33배 빨리 촉매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촉매환원 반응은 UV/Vis 분광기를 이용해 나이트로페놀레이트 이온의 흡광도
세기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시스템은 하루 100회 이상 촉매 성능 평가가 가능해 촉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통해 전문인력 투입 없이 빠르고 신뢰성 있는 촉매 사전평가 데이터를 ... ...
디지털 홍수 속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카메라 입덕가이드
과학동아
l
2022.11.26
뒤 기록하는 식입니다. 이미지 센서가 필름의 역할을 하는 거죠. 그는 어쩌다 이렇게 19
세기
촬영기법 같은 생소한 분야에 빠지게 됐을까요. 관우 씨는 “필름카메라의 매력은 기다림만이 아닌 다양한 렌즈를 통한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특이한 보케와 빛 번짐이 나타나는 ... ...
[주말N수학]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수학동아
l
2022.11.26
난처한 일입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수학자는 선택 공리를 인정합니다. 20
세기
수학계는 선택 공릴르 받아들일지 말지를 두고 숱한 논쟁을 벌였어요. 수학동아 DB ※관련기사 수학동아 11월,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 ...
日 달 착륙 실패에도 美 협력 '공고'...韓 진전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1.22
아폴로 13호가 1970년 세운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넘는 것이다. 이번 SLS 발사는 반
세기
만에 사람을 달로 보내려는 유인 달 탐사계획 ‘아르테미스’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을 통해 국제협력을 공고히 해 우주 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주도 하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과학이라기보다 철학에 가깝고 실제로 이들을 철학자(philosopher)라 한다. 17
세기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반복되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고자 한 학자들의 모임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실험을 하지 않은 채 상상력만 발휘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와 구별하기 위해 스스로를 ... ...
달 향하는 우주선 '오리온'이 보낸 첫 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NASA) 제공 우주발사체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이 성공적으로 발사되며 반
세기
만에 사람을 달로 보내려는 유인 달 탐사계획 ‘아르테미스’의 첫 단계가 시작됐다. SLS에 실려 16일 발사된 우주선 ‘오리온’이 생생한 우주 영상을 보내왔다. 오리온 동체와 함께 태양 전지판 뒤로는 지구의 ... ...
“거리두기·마스크 착용...시민의식 덕분에 한국 코로나 사망 최소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바탕으로 앞으로 감염병 예방 방법에 대한 조언을 담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0
세기
초 발병한 스페인 독감 이후 세계적으로 유행한 바이러스이다. 2022년 11월까지 약 6억3000만여명이 감염됐으며 그 중 660만여명이 사망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홍콩독감(1968년), 신종플루(2 ... ...
인류, 반
세기
만에 달 복귀 '아르테미스' 첫걸음...SLS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유튜브 캡쳐 반
세기
만에 사람을 달로 보내려는 유인 달 탐사계획 ‘아르테미스’의 첫 단계가 시작됐다. 1972년 아폴로 17호 착륙 이후 재개된 아르테미스 계획의 1단계로 사람 대신 마네킹을 태운 우주발사체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이 발사에 성공한 것이다. NASA 유튜브 녹화 NASA 유튜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그런데 몇몇 과학자들은 거울 나라가 현실에서 실현될 수도 있다는 꿈을 품고 이미 반
세기
전부터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현실 생물이 지닌 생체분자의 거울상인 생체분자로 이뤄진 생물 '거울 생물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무슨 황당한 소리인가 의아해할 독자도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