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방
방면
발사
방축
방목
복사
방사능
뉴스
"
방사
"(으)로 총 57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아레바가 라하그 지역에 건설한 재처리 시설. - Areva 피복관이 부식에 의해 파손되면
방사
성 물질들이 빠져나온다. 또 설상가상으로 물과 우라늄이 만나면 물 속의 산소와 반응하면서 수소가 발생하며, 우라늄과 수소가 다시 반응해 우라늄 하이드라이드가 만들어진다. 우라늄 하이라이드는 공기 중 ... ...
[표지로 읽는 과학] 침팬지보다 인간의 뇌가 3배 더 큰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
방사
신경교세포(radial glia)’ 활성이 침팬지에 비해 41% 가량 낮다는 것을 확인했다.
방사
신경교세포는 뇌 발달 초기에 신경세포를 만드는 데 관여한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인간의 뇌가 침팬지의 뇌보다 3배 가량 더 큰 것과 관련이 있다”며 “‘적은 것이 더 많다(less is more)’ 가설을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피데스 연구원은 “세 가지 돌연변이 유전자군이 생기면서 NOTCH 신호 작용이 활발해져
방사
성 신경교세포가 증가했으며, 이것이 뇌용량 증가로 이어졌다”며 “이 유전자가 없으면 소뇌증이나 뇌전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같은날 학술지 ‘셀’에 돌연변이 노치2유전자군과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조상과 갈라진 뒤인 약 300만~400만 년 전 이후 홀로 이 유전자를 얻었다”며 “그 결과
방사
신경교세포 양이 증가하며 대뇌피질의 뇌세포 수가 늘었고, 결국 뇌가 커질 수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팀이 구축한 영장류의 미니뇌 오가노이드. 이 안 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사람과 비교해 뇌 ... ...
[사이언스지식IN] 2007년 라돈 사태 이미 있었는데...라돈 문제는 왜 반복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6.06
부피가 워낙 커서 소각이 우선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각을 하면
방사
성 물질이 주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요. 무거운 광물에 속하는 모나자이트가 공기 중으로 날아갈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장 책임연구원은 “모나자이트를 소각하면 가라앉게 될 것”이라며 “만약을 ... ...
[과학사진관] BEAAMMMMM !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결과 정중앙으로 양성자들이 가속하는데, 이러한 양성자들은 암 치료에 쓰일 수 있다.
방사
형으로 퍼져나가는 원형의 파동과 간섭무늬들이 만든 굴곡진 이미지에서 옵아트가 연상된다. 작가의 TIP 파장의 길이란? 빛의 파장의 길이를 물리학에서는 람다(λ)로 말한다. 옵아트란? 추상적인 ... ...
패션이 과학과 만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2018.05.30
특수 유전자가 포함된 효모를 통해 발효 과정을 거칩니다. 그렇게 제조된 단백질을 습식
방사
해 섬유로 제작하는 것이죠. 이 섬유는 영국 패션 브랜드 스텔라 매카트니에서 고급 실크 넥타이와 모자, 드레스 등 다양한 패션제품으로 제작해 출시했습니다. 거미 실크로 스텔라 매카트니가 제작한 ... ...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궁금증...과학이 답할 수 있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풍계리 핵실험장의 모습. 동서남북에 1개씩 4개의 갱도로 이뤄져 있다. 이 중 3번과 4번 갱도는 핵실험에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갱도다. 북 ... 때문에 빗물에 의해 땅 속까지 침투될 가능성도 크지 않고, 지하수가 있을 가능성도 낮아
방사
능 물질이 이동하기는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아시아 최대 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3일 개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5.03
등의 체류형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호랑이숲에는
방사
훈련을 마친 백두산 호랑이 '우리'와 '한청'이 살고 있다. 김용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장은 “기후변화로 취약해지고 있는 백두대간 지역의 산림식물종들에 대한 보전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산림교육 및 ... ...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연구 재개 결정…계속되는 ‘반쪽짜리 공론화’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원자로인 SFR의 연료로 재처리하는 기술이다. 사용후핵연료의 부피를 20분의 1로 줄이고
방사
능도 1000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 사업에 1997년부터 현재까지 6794억 원을 투입했다. 그러나 탈원전 시민단체 등은 파이로프로세싱이 원전 운영을 전제로 하는 기술이라는 점과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