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뉴스
"
광
"(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신경망으로 항공기 내부 손상 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가하면서 시스템 성능을 시험한 결과다. 서대철 표준연 안전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
광
섬유 신경망은 군용 항공기와 선박, 다양한 산업 설비의 저장용 압력 탱크처럼 지속적으로 보수해 사용하는 중대형 구조물의 안전성 검사에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컴포지트 ... ...
오래써도 계속 밝~은 형
광
등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자체적으로 해결한 것”이라며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빛의 세기가 줄어들지 않는 형
광
체 원천 기술을 개발한건 세계 최초”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터리얼스’ 14일자에 실렸으며, 국내외 특허에 등록됐다. ... ...
故 신중훈 KAIST 교수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방향을 바꿔 주면 가시
광
선 영역의 모든 색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다. 김 교수는 “
광
결정 기술에 대한 신 교수님의 선행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탄생할 수 있었던 기술”이라며 “하나의 입자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만큼 반사형 컬러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 ...
빛으로 글씨 쓸 수 있는 디스플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0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모니터 개발 이 가능해진다. 빛을 전력으로 바꿀 수 있어 태양
광
발전이나 빛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라이파이’ 통신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먼저 마치 아령처럼 생긴, 새로운 형태의 소자를 개발했다. 빛을 발생시키는 부분과 흡수하는 부분을 나눠 하나로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플래시
광
을 쬐인 후 은 나노와이어가 그물망처럼 연결된 모습. - KAIST 제공 또 플래시
광
의 적외선은 기판과 와이어 사이의 접촉력을 높이는 데 활용했다. 기판과 전극 사이의 열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접착력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휘어도 전극이 잘 분리되지 ... ...
설날 경험하는 공감 백배 ‘머피의 법칙’ 이야기,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6
깨끗이 청소한 엄마를 믿으며 다시 빵을 집어 들었다. 버스 도착 시간을 확인하느라
광
탈한 휴대전화 배터리를 충전하려고 USB를 찾았다. 어? 이쪽인가? 반댄가? 이건 뭐 절대 한 번에 성공하는 적이 없다. 주인공 쿠퍼는 자신의 딸 머피에게 머피의 법칙이 나쁜 일만 생긴다는 뜻이 아니라고 ... ...
표준硏, ‘2017 KRISS 명장’에 이회윤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7.01.03
우주
광
학센터 책임연구기술원(58)을 ‘2017 KRISS 명장’으로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광
학 부품과
광
학시스템에 대한 평가 기술 표준을 확립해
광
(光)산업을 지원한 공로다. 이 연구원은 3년 간 매년 100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다. ... ...
상어가 먹다 남긴 물고기
팝뉴스
l
2017.01.01
팝뉴스 제공 미국의 낚시
광
여성이 공개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된 사진이다. 오래 고생해서 큰 물고기를 하나 낚았다. 그런데 이 물고기는 누가 먹던(?) 것이다. 여성이 물고기와 밀당을 하는 동안 주변에 상어가 있었다고 한다. 낚시바늘에 걸려 버둥거리는 물고기는 상어에게는 잘 차린 ... ...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무궁화의 생존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주황색), 목화(분홍색), 애기장대(녹색), 암보렐라(파란색) 유전체의 개화 관련 유전자 중
광
(光) 주기와 관련된 유전자의 계통을 나타낸 그래픽(A)과 무궁화 유전체에서 나타난 개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나타낸 그래픽(B).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100일 이상 지속되는 개화, 추워진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퀀텀닷’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3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바이오 센서 등에 폭넓게 활용될 것”이라며 “친환경
광
소재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의 학술지인 ‘ACS Nano’ 10월 25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