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뉴스
"
건설
"(으)로 총 2,21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로 떠났던 '오리온' 귀환한다…착륙은 태평양에 '풍덩‘
동아사이언스
l
2022.12.11
아르테미스1호에서 분리된 달 궤도 무인 우주선 오리온이 촬영한 지구와 달의 모습. NASA 제공 미국의 유인 달 탐사를 위한 첫 번째 프로젝트 '아르테미스I'의 일환 ...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다. 달에 우주비행사를 보내고 향후 심우주탐사를 위한 달 기지를
건설
하는 임무 등이 포함돼 있다 ... ...
시행착오 겪어야 일상 문제 해결하는 혁신 나와
과학동아
l
2022.12.10
학부생은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되면서,
건설
현장의 노동자 환경을 개선할 제품을 만들고자 했다”며 “공학과 디자인을 함께 배우는 융합전공학부에 재학 중이라, 자연스레 공학과 디자인의 관점을 접목해 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임 씨에게 내년에 ... ...
"구조건전성 만족" 한빛4호기 재가동 9일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8일 제168회 원안위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원안위 제공 지난 2017년 원자로에서 공극이 발견돼 5년째 가동이 중지됐던 한빛4 ... 배관의 오리피스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운영 변경 허가 내용을 담은 '원자력이용시설
건설
·운영 변경허가(안)'도 의결됐다. ... ...
달 탐사 떠났던 우주선 오리온 11일 지구로 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22.12.06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다. 달에 우주비행사를 보내고 향후 심우주탐사를 위한 달 기지를
건설
하는 임무 등이 포함돼 있다. 이번 미션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2024년 말 이뤄지는 다음 임무에서는 실제 우주비행사가 탑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미션은 추후 달 탐사를 위해 SLS 로켓과 오리온 우주선의 ... ...
우주개발 핵심 키워드 '국제협력'..."한국도 플레이어 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6
참여한다. 중국과 러시아는 이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달 표면 유인기지
건설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한다고 발표하는 등 여러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 중이다. 한국은 아르테미스 협정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5월 10번째로 미국과의 아르테미스 협약을 맺었다. '우주탐사 컨소시엄: 진화 ... ...
화성의 휴대폰 신호도 감지...세계 최대 우주전파망원경
건설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아니라 우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게임체인저"라며 "수년 간의 계획과 설계 끝에
건설
이 시작된 것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SKA는 완성되면 외계 통신 신호를 발견할 수 있을 만큼 높은 민감도를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니 프라이스 호주 커틴대 전자공학과 ... ...
[인사]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
건설
산업진흥본부장 최창호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2] "한국 우주 스타트업, 참신성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9
“새로 만들어질 예정인 우주항공청 지원 아래 한국 기업들도 이런 민간 우주정거장을
건설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주 공간이 넓다고 하지만 실제론 쓸 수 있는 공간은 한정적”이라며 “이미 지구 저궤도의 우주공간은 전쟁이 벌어졌다. 한국 스타트업들의 도전이 필요하다”고 ... ...
[기후위기와 산림] 목재의 재발견...탄소 배출 줄이는 친환경 자재
2022.11.24
따른 최적 이용을 보장해야 한다. 목재의 화재 위험 및 내구성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건설
·사용·철거 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소비 감소 등 환경측면에서의 목재가 가지는 장점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EU 산림자원의 단계적 이용원칙. 장윤성 제공 이를 위해 산림청은 선진국형 ... ...
韓 세계 여섯번째 남극내륙 탐사기지
건설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2
남극기지는 세종과학기지와 장보고과학기지로 내륙이 아닌 해안에 위치한다. 기지
건설
과정에서 3000m 깊이의 남극 심부 빙하도 시추해 미생물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도 추진한다. 2026년까지 총 2774억원을 투입한다. 북위 80도 이상 고위도 북극해를 탐험한다. 국내 유일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