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xys.org)’에 “NgAgo로 유전자를 자르는 데 실패했다”고 밝힌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영국, 호주, 스페인 등 전세계에서 재현에 실패했다는 증언이 쏟아졌다. NgAgo의 재현성을 토론하는 구글 그룹(goo.gl/z8hbvp)도 만들어졌는데, 댓글 대부분은 NgAgo를 이용해 유전자를 자를 수 없었다는 내용이었다.한춘위 ... ...
- [소프트웨어] 포켓몬 잡으러 GO 동해바다로 GO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아무래도 실제 공간이 아니니 재미가 떨어지네요. 지금까지 이 게임은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지역에서는 포켓몬 GO를 즐길 수 있어요. 그중 가장 인기 좋은 곳이 바로 속초지요. 속초가 북한? 마름모꼴 구획속초에서 포켓몬 GO가 된다는 소식이 ...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런데, 하물며 동물의 가족 잃은 슬픔을 헤아리는 게 지금 우리에게 가당키나 할까. 호주 출신의 철학자 피터 싱어가 ‘동물해방론’을 통해 도덕적 이해관계를 갖는 피동자의 범위에 동물을 포함시킨 게 꼭 70년 전이지만, 여태 먼 나라책 속에만 존재하는 이야기일 뿐이다.이 책이 우리 사회에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만들어진다. 남극대륙 주변에는 실제로 대규모 화산활동 증거들이 남아있다.호주 대륙약 2000만 년 전 남극대륙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분리됐다.해류극지의 환경을 만들다극지를 순환하는 해류는 오늘날 극지의 환경을 만든 장본인이다. 북극은 따뜻한 대서양 바닷물이 상승하면서 공기 중에 수분을 ... ...
-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또 다른 방법이 유명 동영상 사이트에서 화제가 됐어요. 주인공은 평소 서핑을 즐기던 호주의 앤드류 터튼과 피트 세글린스키였지요.여느 때처럼 서핑을 즐기던 두 청년은 문득 바다에 떠 있는 쓰레기가 많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서핑은 수면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스포츠인데, 수면 위에 떠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현재 남극 순환류라는 매우 차갑고 빠른 해류가 돌고 있다.과학자들은 2000만 년 전 호주 대륙과 남아메리카 대륙이 남극에서 본격적으로 떨어져 나가면서부터 남극 주변에 순환류가 돌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따뜻한 해류가 남극대륙까지 흘러들어오는 것이 완전히 차단돼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일본 도쿄에서 잡은 멸치 64마리 중 49마리의 몸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어요. 또 호주 연방과학산업기구의 연구에 따르면 2050년 바닷새 99.8%가 미세플라스틱을 먹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4월쯤이 되면 우리나라나 일본으로 왔다가 날씨가 쌀쌀해지는 9월쯤 동남아나 호주로 떠나요.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을 피해 따뜻한 나라로 떠나는 거죠. 따라서 옛 어른들이 말하던 ‘제비가 가는 강남’은 한강의 남쪽이 아닌 중국 양쯔강의 남쪽 즉, 동남아 지역을 뜻한답니다.아~, 제비가 가는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새로운 어머니의 DNA를 만나더라도 잘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찮다. 호주 모나쉬대 미토콘드리아 진화생물학자인 데미안 다울링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외부 유전자에 적응하기 위해 엄마의 DNA와 협력하고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전 처음 보는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영국 옥스퍼드대와 호주 퀸즐랜드대 공동연구팀은 공중에 있는 먹이를 잡기 위해 입으로 물총을 쏘는 물총고기(Toxotes chatareus )의 수조 위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특정 사람의 얼굴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면서 선택하도록 훈련시켰다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