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대한 포부를 밝히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연구로 한국은
현재
표면에서의 양자나노과학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획기적인 연구들을 앞으로도 계속해 나가려 합니다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1만 5450t급)은 아라온호(7000여t급)보다 선박 규모 면에서 두 배나 더 큰 ‘우량아’지만
현재
까지 훨씬 수월하게 준비 단계를 밟고 있다. 2027년 취항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아라온호에 지워진 무거운 짐을 나눠들 예정이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건조되면 아라온호는 남극기지 보급과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궁금증에 기인합니다.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면 좋겠지만
현재
의 과학기술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대신 인류는 지진파 관측이라는 멋진 대안을 찾았습니다. 지진파로 관측해보니 지구의 맨틀에는 지구의 표면보다 훨씬 변화 무쌍한 내부 구조가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 ...
[이달의 책] 공백과 예상을 뛰어넘는 한국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상관관계는 낮아진다는 사실에서, 이젠 원점에서 멀어진 사람이 아직도 원점을 기준으로
현재
좌표를 읽는 것이 바로 ‘꼰대’라고 말할 때 이 책은 물리학의 렌즈로 한국 사회의 입자를 관찰한 셈이다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다양한 58.7GW(기가와트)의 발전설비를 갖출 예정입니다. 이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국민 약 1800만 명이 사용하는 수준의 에너지 양입니다. 인하대학교 KIURI 연구단 조현석 연구교수는 “수소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지만, 태양광 집열판(CSP)를 활용해 1500℃ 이상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큰 크기”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지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무시할 정도는 아니지만
현재
로서는 상당히 낮다”며, “태양계에 어떤 소행성이 분포하고 있는지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됐다”고 연구 의미를 밝혔답니다. 에필로그“붉은 하늘이랑은 관계가 없다고요?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해요. 그레이수소, 브라운수소에 비해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성이 높아서
현재
가장 주목받는 수소 생산 방식이지요. 하지만 블루수소 역시 화석연료를 사용하기에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에너지라고 말하기는 힘들어요. 이 때문에 최근에는 그린수소를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 ...
함풀문 풀이 MVP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 올라온 문제를 풀어 주세요! [시간 개념] 출제자 MATH의 GOD ❶
현재
시각은 12시(24시 기준). 아날로그 시계만 가지고 있는 매스가 수동이에게 10분 후에 만나자고 했어요. 그런데 수동이가 10분 후인 12시 10분에 약속 장소에 도착했을 때 매스는 오지 않았어요. 그로부터 40분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영화 ‘아바타2’ 가 개봉해 시기도 딱 맞았네요. 이진영 위원이 보고 싶다고 한 ‘과거·
현재
·미래 의 신소재’ 주제는 ‘초(超)재료’라는 기사로 만들어졌습니다. 백시우 위원의 ‘우리나라의 고대 또는 역사시대의 과학기술’ 주제는 ‘과학사 극장’ 으로 다듬어졌죠. 최연우 위원이 꼭 보고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광손실을 해결하고 있는데, 양자통신에서는 기존 중계기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기술로 수백 km 이상 원거리에서 양자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양자채널 구성의 거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얽힘 교환 기술을 이용한 ‘양자중계기’ 기술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