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현지
장식띠
지점
작업장
공사장
곳
d라이브러리
"
현장
"(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원격탐사를 공부했습니다. 지질학은 전통적으로
현장
조사가 기본이지만 원격탐사는
현장
에 가지 않아도 됩니다. 극지 인접국인 노르웨이에서 극지 환경을 연구한 경험을 살려 한국과 극지 연구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싶습니다. ■김승희 선임연구원(천체물리 전공)같은 지구임에도 가끔 다른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국내에 맞는 미라 연구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에는 미라가 발견되면 발굴
현장
에서 수의를 회수하고 연구실로 옮겨왔다. 그 결과 미라가 오염돼 과학적 조사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겼다. 결과적으로 과학 분석에 적합한 시료를 얻는 데는 좀 더 안정적인 장소에서 충분한 시간을 두고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현장
행사가 모두 취소됐다. 일부는 온라인으로 진행되긴 하지만 오프라인 취업 박람회
현장
에서만 느낄 수 있는 열기와 몰입감이 적을 것이다. 그래도 학교에서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대체 행사를 준비 중이라고 하니 이런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할 것 같다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선정할 때도 인공위성 정보가 유용하다. 해빙 캠프는 연구자들이 아라온호에서 하선해
현장
조사를 수행하는 지역이다. 출항한 아라온호의 예상 항로에는 해양 조사 지점만 표시돼 있다. 해빙을 조사하는 해빙 캠프는 항해 중에 결정된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바빠지는 시기다.해빙 캠프는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있답니다! 이런 지형을 ‘단층’이라 부르지요. 단층은 어떻게 생길까요? 절벽이나 공사
현장
을 지나다 보면 드러난 지층을 볼 수 있어요. 그런 곳에서 혹시 지층이 끊어진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이렇게 지층이 끊어져 어긋난 지형을 ‘단층’이라 불러요.단층이 생기는 원리는 마치 긴 나뭇가지에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추정하려면 역시
현장
조사가 수반돼야 한다. 인공위성으로 조사한 해역에서 직접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농도를 조사한 뒤 인공위성 관측 결과와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극지 바다의 식물플랑크톤 ... ...
[과동키즈] 과학고 출신 의사에서 국회의원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제 과학계에서 일했던 사람이 직접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장
의 생동감 있는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사와 과학자의 경험을 살려 연구자들이 배고프지 않은 환경을 만들고 싶다. ●나만의 과학동아 활용법 Q1. 과학동아 구독 기간은?초등학교 고학년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인공위성에서 매일 수집되는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와
현장
조사 결과가 더해져 미래 극지 탐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지구 해수면이 3m 이상 상승한다는 보고도 있다. 하지만 빙하가 흐르는 속도가 매우 빨라
현장
에 머물면서 빙하를 장기적으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아라온호를 이용해 빙붕 가까이 접근하는 데 성공하더라도 언제든지 빙벽이 붕괴할 위험이 따른다. 향후 인공위성 원격탐사의 역할이 더 ... ...
[한페이지 뉴스]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화재
현장
에서는 불꽃이 회오리바람을 일으키는 현상을 종종 볼 수 있다. 높은 열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들어 소용돌이 불꽃이 형성되는 이런 현상을 ‘불꽃 회오리바람(fire whirl)’이라고 부른다. 미국 연구팀이 불꽃 회오리바람에서 파생된 ‘파란 회오리바람(blue whirl)’의 형성 원인을 밝혔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