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단"(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뭔지 궁금하다고요? 사람의 뇌가 뇌세포의 복잡한 연결망으로 이뤄진 것처럼 딥러닝이라는 함수도 단순한 함수가 아닙니다. 많은 함수로 연결된 일종의 ‘합성함수’라고 할 수 있죠.y=ax+b라는 함수와 z=cy+d라는 함수가 있다고 가정할게요. 두 함수는 개별적인 함수지만 x(정의역)에 대한 함수의 결과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다. 단 외부의 에너지를 얻을 때는 바깥쪽 ... 잃을 때는 안쪽 전자껍질로 이동한다. 이때 전자가 몇 번째 전자껍질에 ... 표현한 것을 에너지 준위라고 한다. (하단 인포그래픽 참고) 보통 원자가 하나만 있을 때는 이 에너지 준위가 특정한 수로 정해져 있다.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고장 나면 질병에 걸렸다고 한다. 세포에서 문제가 되는 단백질과 그 신호가 무엇인지 알아내면 ... 등과 공동으로 암, 노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찾고, 이를 이용해 암세포를 바로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서 교수는 “변이가 일어난 세포를 하나씩 선별할 수 있다면 이 세포만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여성 공학인을 대표해 김 수석연구원을 포함한 4명이 공학자를 꿈꾸는 대학생과 청소년의 ... 조선해양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초반 3년간 유일한 여성 연구원이었다. 2010년부터 일하고 있는 ... 여성 연구원은 그가 유일했고, 현재도 100명 중 단 3명뿐이다. 주변에서는 그런 그에게 ‘왜 여성이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대략적으로 알 수 있거든요. 물리탐사가 필요한 이유는 유물을 발굴하기 위해서 흙을 파는 순간 ...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조사할 수 있는 기회는 단 한 번뿐인 거죠. 물리탐사를 이용하면 문화재를 보존하면서도 여러 번 조사할 수 있어, 유물을 파내기 전에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GPR로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비하인드 로켓’ 기사 참조). 발사대를 비롯한 지상설비의 설계는 발사체 1단과 마찬가지로 러시아가 맡았다. 한국은 우주센터와 같은 지상장비를 구축해본 경험이 없어 이 분야에 경험이 많은 외국업체의 기술지원이 필요했다. 논의 끝에 설계는 러시아가, 건설은 한국이 담당하는 것으로 ...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위해 서 교수는 생각을 끊을 시간을 알람으로 정한 셈이다. 꾸준함은 나의 힘김범준 Q. 수학자가 ... 동기부여 없이 오랜 시간 풀어야 하는데, 좋아한다는 감정만 가지고는 하기 어렵거든요. 다른 ... 하면서 꾸준히 노력할 수 있는 일이라는 판단이 들면 그 길을 선택하라고 조언하고 싶어요. 신가온 ... ...
- [ 과학동아 X Geekble] 미세먼지 캐리어 마스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안녕, 호국 요람의 품으로 ^^7).일단 미세먼지는 신체 어느 부분보다도 ... 건조해지면서 세균이 쉽게 침투한다는 건 미세먼지에 대한 아주 기초 ... 만들 겁니다. 생각나는 모든 장치를 한 데 모을 작정입니다. 일단 생각나는 대로 얘기해볼까요.하나는 헤파필터입니다. 헤파필터는 미세먼지가 기승 ...
- 수리류의 여정을 쫓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내 등에 추적 장치는 왜 단 거야? 매년 두 번, 긴 여정의 비밀초원수리를 포함해 수리과에 속하는 다양한 종이 겨울엔 남쪽으로, 여름엔 ... 몽골을 오가는 독수리도 최단 거리인 서해를 포기하고, 북한과 중국 땅을 거쳐 이동한답니다. 수리류 새들이 매년 남과 북을 오가는 긴 여정을 선택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셈이다. 한 단계를 더 거치면 1502명의 사람에게 ... 쉽게 커버할 수 있을 것 같다.이렇게 한 단계가 늘어날 때마다 연결되는 사람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연결된 다수(전체)의 문턱값을 넘어서는 순간이 생긴다. 바로 사회에서 ‘상변화’가 일어나는 순간이다.문턱값은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