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물"(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보통난이도 | 천문학자의 남극 라이프 ‘오레오 쿠키를 한 손에 들고 밤새도록 우주의 끝에서 날아온 빛을 바라보며…’ 천문학자들의 삶은 이렇게 우아하고 낭만적일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영하 수십 도의 남극대륙에서 찬바람을 맞으며 망원경 꼭대기에 올라 장비들을 납땜하는 ‘극한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번 미션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유적을 찾아내는 겁니다. 땅속에 묻혀있어 알아채지 못하고, 하늘 위에서 봐야만 진짜 의미를 알 수 있는 유적도 있거든요. 여러분을 도와주기 위해 수학의 눈으로 땅속을 탐험하는 고고학자 오현덕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을 모셨습니다!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충무로에는 ‘하정우가 고생하면 뜬다’는 속설이 있다. 2013년 영화 ‘더 테러 라이브’에서는 폭탄 테러범과 싸워 관객 558만 명 이상을 동원했고, 2016년에는 ‘터널’에 갇혀 치열한 생존기를 보여주며 710만 명 이상을 모았다. 그런 하정우가 다시 재난영화로 돌아왔다. 이번에는 백두산이다. 2019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매스 아일랜드를 탐험하다 보니 지구를 위한 수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도 만났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볼까? 2013년은 유네스코가 정한 ‘MPE’의 해였대. MPE는 Mathematics of Planet Earth, 즉 지구를 위한 수학을 의미하지. MPE의 해를 맞아 2013년 3월에는 파리의 유네스코 본부에서 선포식이 열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내가 주인이 되는 재미있는 수학 공부, 율곡중학교 오선영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수학 수업 좋아하세요? 수학에 자신이 없어서 수학 수업도 재미가 없다고요? 그렇다면 오선영 선생님의 수업을 만나보세요. 수학을 잘하는 학생도, 수학이 어렵다는 학생도 입을 모아 ‘재밌다’고 말하는 이 수업의 비밀을 알려드릴게요! “수학을 좋아하는 건 아닌데 수학이 재미있어요.”중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구에서 일어나는 기후변화가 금성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형태와 원인은 다르지만 둘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행성의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금성의 기후변화는 지구의 기후변화를 한 층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만들 뿐 아니라, 기후변화를 우주적 스케일로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EBS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자이언트 펭TV’가 오픈한 지 약 9개월 만에 구독자 143만(12월 21일 기준)을 기록하며 대세로 떠올랐다. 그 1등 공신은 단연 채널의 주인공인 크리에이터 연습생 펭수다. 펭수의 정체가 궁금해진 과학동아는 펭수의 고향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연구 중이던 펭귄 전문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리 새해엔 절대 큰소리를 내지 않는 어른이 되자! 알겠지, 개코 조수?”“….”개코 조수가 들은 척도 하지 않자 꿀록 탐정은 저도 모르게 크게 소리쳤어요.“야! 개! 코! 조! 수우우우!”“헤헤. 꿀록 탐정님 새해 목표가 12초 만에 무너졌네요.”“너~! 잡히면 가만 안 둬!”새해에도 꿀록 탐정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부산 지역에 있는 한 관청의 노비 출신인 장영실은 세종을 만나 벼슬에 올랐다. 장영실은 별과 행성의 움직임을 관측해 하늘의 이치를 밝혔고, 이를 통해 시간을 재고 전달하는 시계도 완성했다. 조선의 하늘을 연 것이다. 과학적 발명 업적에 힘입어 장영실은 노비에서 기술총책임자격인 품계상 종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