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대상의 국적에 따른 문화적 차이도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지표
인 뇌파를 쓰고 싶었지만 뇌파에는 잡음이 많이 섞여 있어서 선뜻 시작할 수 없었다.그 이야기를 들은 강 연구원은 자신이 도울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강 연구원의 전공 분야인 컴퓨터과학에서는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인류에 공헌했다는 것을 뜻한다. 또 그 과학자를 배출한 나라의 과학적 역량을 대변하는
지표
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노벨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한국의 과학적인 위상을 인정받고 싶은 바람 때문이다. 그런데 과연, 한국의 과학 생태계는 노벨상이라는 ‘열매’를 맺을 만큼 건강할까. 과학 생태계를 ... ...
Part 1. 세계는 지금 초고속열차 경쟁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밝혔어요.비행운은 비행기의 배기가스 입자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생기는 구름으로,
지표
에서 우주로 방출되는 열을 막아 지구온난화를 일으켜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비행운이 유럽과 미국 하늘의 0.5~2% 정도를 뒤덮고 있어서 북반구의 대기를 0.01~0.1℃ 상승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어요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지진의 특성을 좀 더 살펴보면 주향이동 단층의 수평운동이 주로 일어났고, 동시에
지표
면에 수직한 면과 10° 남짓한 각도를 갖는 역단층 운동도 함께 일어났다”고 설명했다.지하 심부의 단층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큰 규모의 단층 운동이 있은 뒤에는 반드시 2차적인 단층 활동이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유연할수록 진동수가 작습니다. 만약 건물의 고유 진동수와 비슷한 진동수의 지진파가
지표
면을 흔들면 그 건물은 다른 건물보다 지진에 더욱 격렬하게 반응합니다. 1985년에 규모 8.1 지진이 멕시코시티를 뒤흔들었을 때, 15~20층짜리 건물에 특히 피해가 컸습니다.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때는 5~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정량적인 평가 방식이다. 논문 개수와 저널의 영향력이 과학적인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
가 아님에도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주로 한다. 한국연구재단의 경우 2014년부터 평가자들에게 정량적 평가를 지양하고 정성적 평가를 할 것을 주문하고 있지만, 부처마다 상황이 달라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
는 ‘네트워크’다. 네트워크가 풍부할수록 생태계는 건강하다. 또 개체가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그 개체의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다.과학 생태계에서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 노벨상 수상자들은 어떤 연구자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을까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한다’는 질타를 듣는다. 노벨상이 수~수십 년 전 연구 성과를 갈무리하는 전형적인 후행
지표
이며, 따라서 결코 현재나 미래의 과학수준을 알려주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일리 있다. 하지만 대중에게 과학 정보를 전파하는 게 일인 과학기자 입장에서는 최고급 과학 정보가 뉴스 맨 앞에 나올 수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연구 역사가 훨씬 짧으니 그럴 만도 하다. 최정해 책임연구원은 “침식이나 풍화에 대한
지표
변화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최대한 많이 쌓아나가야 한다”며 “이런 중요한 시기에 과학자로서 할 일이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벽돌로 높이가 2km나 되는 건물을 짓는 것은 불가능하다. 가장 큰 장애물은 바람이다.
지표
면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바람의 세기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벽돌 건물은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힘에는 강할지는 모르지만 옆으로 미는 힘에는 매우 취약하다. 현대의 고층 건물은 ‘댐퍼(damper)’라고 불리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