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페스트균(예르시니아 페스티스)을 밝혀내 전염병 종식을 이끌었다. 7월 말 미국, 중국, 아랍에미리트(UAE)가 일제히 화성 탐사에 나선다. 한국은 아직 화성 탐사 계획조차 수립하지 못했다. 우주 탐사를 포함한 과학기술 발전은 기초기술부터 첨단기술까지 모든 기술이 총동원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화성을 향한 인류의 도전은 1960년 옛 소련이 ‘마스닉 1호’를 발사하면서 시작됐다. 마스닉 1호는 로켓 문제로 대기권을 벗어나지 못해 실패했지만, 4 ... 옛 소련)가 각각 21회와 20회로 단연 앞선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과 유럽, 인도, 중국 등이 화성 탐사 경쟁에 새롭게 뛰어들고 있다 ...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대외에 공개하고 세계의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것을 환영한다”며 “창어 프로젝트는 중국 우주항공 분야의 대외 개방 협력 플랫폼”이라며 국제협력의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증가한 직후였다.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이 이끄는 RNA 연구단은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상황을 보며 일주일 고심 끝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분석을 결심했다. RNA 연구단에서 수없이 해왔던 ‘나노포어(nanopore) 직접 RNA ... ...
- [이달의 책] 100년 전 스페인 독감에서 코로나19 극복의 지혜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10개월 전, 미래에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등장할 것을 예측한 논문이 있었다. 하필이면 중국 우한바이러스학연구소의 연구였다. 이 놀라운 우연은 동아사이언스 포털의 연재 칼럼인 ‘강석기의 과학카페’를 통해 국내에 처음 알려졌다. 이렇게 ‘핫’한 과학만 다루는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 ...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이 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보자.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뒤 6개월 넘게 전 세계를 감염시키며 대유행을 일으키고 있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원래 박쥐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다. 하지만 돌연변이를 통해 중간 숙주(천산갑으로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배씩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미국의 비영리 환경단체인 에코헬스얼라이언스, 중국과학원(CAS)을 포함해 이탈리아, 나이지리아, 브라질 등의 국제공동연구팀이 2018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전 지구 바이러스체 프로젝트(The Global Virome Project)’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포유류와 ... ...
- [잡히다] 고래 감옥의 비극이 드러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우리 흰고래는 추운 북극해 일대에서 살아. 때에 따라 혼자, 20마리, 심지어는 1000마리가 넘게 무리를 지어 생활하지. 그런데 러시아에 호시탐탐 우리 ... 사냥꾼은 고래 포획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으니 고래잡이가 계속 이어지는 것이지요. *출처 : 중국 고래류 보호 연맹의 2019년 보고서 ...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말고도 캐나다 동부 연안 등 세계 여러 곳에 고래 쉼터가 세워질 예정이라고 해. Q 중국에서 아이슬란드까지 오는 길이 고달팠을 것 같아.우리는 작년 6월 약 9600km를 이동해 아이슬란드로 이사했어. 긴 여정 동안 우리를 옮기기 위해 특별 제작된 들것, 수조, 수온을 유지할 4t의 얼음 등 많은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수를 읽습니다. 123을 (일)백 이십 삼으로 읽듯이요.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일본과 중국도 한자어로 수를 읽습니다.영어는 어떨까요? 1부터 10까지는 우리와 비슷하게 각 숫자를 나타내는 고유 단어로 부릅니다. 하지만 우리와 다르게 11과 12로 넘어가도 ‘eleven’, ‘twelve’와 같이 고유 단어로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