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자"(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두산 지질탐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북동 북서 동서 남북방향으로 활동단층이 있다.백두산 주변 백운봉 기슭, 녹명봉 정상부, 제자하(梯子河) 상류 동강(東崗) 등지에서 암석틈을 따라 방출되는 화산가스가 수차례 관측된 사실도 한몫한다. 아울러 1985년 연변조선족자치주 지진변공실에서 백두산 지역에 화산 지진관측소를 세운 뒤 6- ...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않다.일기예보관측 기계를 이용해 일기를 예상하려고 시도한 것은 1643년 갈릴레이의 제자 토리첼리와 그의 친구인 비비에니에 의해서였다. 그들은 수은주의 높이가 날씨에 따라 다르며 이를 이용하면 날씨를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날씨에 따라 기압이 다르다는 것을 이용한 ...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라고 묻는 학생을 크게 꾸짖고 "쓰임새에만 신경을 쓰는 더러운 마음을 가진 자는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이것이나 가져가라" 하며 동전을 던져 버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들은 숫자가 나오는, 즉 현실적인 기하학은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오히려 거부감을 가졌다.한편 삼각 함수표를 보면 sine, cosine ...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과학동아 l1994년 11호
- , 컬럼비아대 이원용(63, 입자물리실험) 등은 노벨상을 받기에는 역부족이고 이들의 제자뻘인 30,40대에서는 현재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사람이 없다.해외파 중에는 프랑스의 노만규박사(58, 원자력청 산하 샤클레 연구소, 핵물리) 정도가 손꼽힌다. 노박사는 중간자들이 핵력에 미치는 영향과 ...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세계에 몇 안되는 프러렌 화학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올라 교수의 한국인 제자로는 인하대 출신의 이창수 박사가 1993년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조지아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올라 교수가 60년대 교수로 임명돼 탄소양이온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을 때 그와 같은 ... ...
- 한글 왜 과학적인가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대한 해답을 독자와 같이 찾아보고자 한다(여기에서는 한글 창제 과정에 있어서 그 제자(制字)상의 과학성보다는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면에서 다루고자 한다).한글은 글자다. 글자는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인 말을 기록하는 기호 체계다. 따라서 우리가 한글의 과학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때는 말을 ...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먼저 눈에 띄었다고 한다. 이 솔잎란은 지금 서울대에 표본으로 남아 있는데, 훗날 이 제자가 그 표본에 '구사일생'이라 적어놓고 갔더라고.아열대림을 이루고 있는 한림원에서는 선바위고사리 세잎고사리 쇠고비고사리 도깨비고비고사리 곰비늘고사리 넉줄고사리 갯마치수염 세뿔석위 해송나무 ...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과학동아 l1994년 08호
- 것이다.밀러의 실험오파린의 가설은 1953년에 미국 시카고 대학의 유리(Urey, H.C.)와 그의 제자인 대학원 학생 밀러(Miller, S.P.)의 공동 연구 결과 일부가 검증되었다.(가) (그림3)과 같은 장치를 만들어 플라스크 안의 공기를 뺀다. 수소 메탄 암모니아를 넣고 밀폐한 다음, 물을 끓이면서 1주일 동안 6만 ...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과학동아 l1994년 05호
- 했다.물론 새로운 변화는 항상 그에 따른 저항이 뒤따른다. 석가는 돌팔매질을 당했고 제자백가는 대다수가 객사했다. 수치적 완벽성을 깨뜨렸다고 믿어진 '말도 안되는'(irrational) 숫자, 즉 무리수(irrational number)를 발견한 사람은 피살당했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한 그리스의 ...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계산을 크게 개량한 것이다. 잘못 측정된 지구 크기와 마젤란의 세계일주히파르쿠스의 제자인 포시도니우스(100 B.C.)는 고대 도시인 로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거리와 위도 차를 재어 지구 크기를 새로 측정했는데, 그가 얻은 지구 둘레 값은 18만 스타디아로 에라토스테네스의 값보다 훨씬 작았다.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