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창조성을 늘려가는 도시의 장점이 여전한 만큼 지속될 것이라고 본다. 흔히 도시를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하지 않나. 더구나 한국과 북미, 유럽, 일본 등 일부를 제외하곤 여전히 도시화는 충분치 않다. 따라서 전 지구적으로 보면 도시화도 계속 진전될 것이다. 다만 현재의 대도시는 에너지 ... ...
- [chapter1] 왜 퓨처 모빌리티인가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경고’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기후변화의 속도는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며, 현재 인류는 기후 비상사태에 직면해 있다. 인간의 활동 자체를 영구적으로 바꾸지 않는다면 전례 없는 막대한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doi: 10.1093/biosci/biz088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기후위기라는 ... ...
- 이동의 ‘주체’가 변하다│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뿐이다. 지금까지 안 바뀌었던 것은 우리가 이동의 주체라는 사실이었다. 앞으로 인류는 이동의 주체 자리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율주행차의 등장으로 운전자의 자리에서 내려오고, MaaS가 추천해 준 운송수단에 올라타기만 하면 된다. 내비게이션의 등장으로 공간 감각이 무뎌졌듯이, ... ...
- [에디터노트] 행복하고 정의로운 이동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한 이동 경험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류의 삶과 도시의 모습도 이에 맞춰 변할 것이다. 이런 예측을 다양한 전문가의 기고와 기업 인터뷰를 통해 짚었다. 미래와 기술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만 강조하다 놓치는 그늘은 없을지도 철학과 인문학, 과학의 ...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인류의 기술문명을 돌아보면 모빌리티 기술은 도시환경 변화와 분명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자동차의 등장이 대표적이다. 자동차 기술의 상용화와 이어진 대중화는 도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08년 미국의 헨리 포드가 ‘자동차 가격은 노동자나 서민이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야 ...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전기차가 여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 인류사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 전기차는 약 190년 전 영국 스코틀랜드 사업가인 앤더슨이 발명한 원유 전기마차였다. 이후 프랑스의 가스통 플란테가 축전지를 만들며 전기차가 급속도로 발전했다. 소음이 없고 냄새와 ... ...
- [chapter5] 사람이 바꾸다, 사람을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기사를 보려면? Intro. 사람이 바꾸다, 사람을 바꾸다Part1. 자율주행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Part2. 플랫폼 │ 기술로 모빌리티 효율 극대화하다Part3. 모빌리티 │ 이동의 ‘주체’가 변하다Part4. 라스트 마일 │ 보행의 영역이 모빌리티의 영역으로Part5. HD 맵 │ 자율주행의 또 다른 ...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공학자 입장에서 자율주행은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문제 자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모든 차가 한 번에 자율주행차로 바뀐다면 오히려 문제가 쉬워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은 상당 기간 동안 사회와 공존해야 하고 공학자들은 이를 위해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 ...
- 팬데믹 시대, 정의로운 모빌리티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역사가 BC(Before Corona)와 AC(After Corona)로 나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를 분기점으로 인류의 역사가 달라질 것이라는 뜻이다. 이는 설령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우리는 또 다른 팬데믹의 위협 하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라는 의미도 포함한다.모빌리티에 의해 팬데믹이 일어난다면, 모빌리티를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고증해 공개했습니다.2, 3파트에서는 오늘날 한강의 물리적 환경과 한강이 겪고 있는 인류의 영향을 담았습니다. 수십억 년 땅의 기억과 수만 년 대륙의 풀 향기를 간직한 강이 인간의 영향으로 수년 만에 변하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물론 굽이치고 흐르는 강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산이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