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계획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미래사회를 위해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선 현재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으로 다가온 기후위기 해결에 가장 큰 공헌을 할 수 있겠죠. 기후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된 이산화탄소는 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합니다. 핵분열 반응을 이용하는 원자력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신호로 바꿔 주는 케이블로, 현재의 초고속 인터넷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한계도 있다.우선 설치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는 점이다.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등 경제적으로 어려운 곳에서는 비용 문제로, 남극이나 사막은 극한 환경조건 때문에 설비가 어렵다. 다음 문제는 속도다. 비록 레이저 ...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파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펭귄의 개체 수가 줄었다면 원인을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우선 주요 먹이인 크릴의 감소를 추측해 볼 수 있겠죠. 그럼 크릴은 왜 줄었을까요? 크릴은 주로 바다 얼음 아래 사는 식물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데, 온난화로 바다 얼음이 감소하면 크릴의 먹이도 줄겠죠. 또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규모의 사건 의뢰는 꿀록 평생 처음! 의뢰인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던 꿀록 탐정은 우선 왕자님이 원하는 별의 종류부터 알아내기로 했어요. 스케치북을 가져와서 별을 그리기 시작했죠.“왕자님, 어떤 별을 원하시나요? 이런 별이면 될까요?”“이 별은 너무 커요. 이렇게 크고 밝으면 장미가 금방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뭔지 알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연구 계획들을 훑어볼까? 우선 내 소설의 출발점인 달 연구 계획부터 봤지. 세상에, 상상력이 대단한걸? 이러다 과학자들이 나보다 SF 소설 더 잘 쓰면 어떡해? 달 뒷편에 전파망원경을 설치한다고?!지난 4월 8일, 나사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셉타르시 반디요파디예 ...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수 있어요.물론 태양 중력렌즈 망원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아요. 우선 태양 중력렌즈의 초점은 태양에서 550AU 떨어진 곳에 있어요. 현재까지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우주 가장 멀리까지 날아간 보이저 위성이 약 150AU 거리에 있는데, 이보다 3.7배 먼 곳까지 우주망원경을 보내야 ...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내민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난제들 중 어과동이 3개의 난제를 꼽아 보았는데요, 우선 첫 번째 문제는…. 4월 22일부터 23일까지, ‘한국과학난제도전 온라인 컨퍼런스’ 가 유튜브를 통해서 생중계되었어요. 이 컨퍼런스는 14명의 과학자가 난제 해결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자리였답니다.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능력 등을 키우고, 정의감이나 사회성 등 올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평가 기준은 우선적으로 조별로 내놓은 아이디어의 창의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의 과학적 타당성을 평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알맞은 프로토타입(prototype·시제품)을 설계했는지를 판단해 상, 중, 하 등 3단계로 점수를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천리안 1호에도 실렸었다. 단, 천리안 2B호 해양탑재체는 그보다 훨씬 업그레이드됐다. 우선 공간해상도가 4배 증가했다. 천리안 1호로는 양쯔강에서 흘러나온 적조와 녹조가 한반도로 향하는 모습만 대략 보였다면, 천리안 2B로는 이것이 한반도 근해에서 세부적으로 어떻게 이동하는지까지 보인다 ... ...
- [과학뉴스] 모기 능력 본뜬 드론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마음껏 날 수 있는 비결은 더듬이 아래에 있는 ‘존스턴 기관’ 덕분이에요. 연구팀은 우선 모기의 비행을 관찰했어요. 열대집모기를 어둠 속에서 날아다니게 한 뒤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지요. 그리고 모기의 비행을 예측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들어 분석했어요. 연구팀은 모기가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