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료를 사용하든 지구를 떠날 때보다 화성을 떠날 때 더 수월하다.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구를 떠나올 때는 스타십에 슈퍼 헤비까지 연결해 추력을 얻어야 했지만, 화성을 떠날 때 그럴 필요는 없다. 스타십만으로도 화성 중력을 벗어날 수 있다. 당신이 타고 온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호기심의 전염성을 연구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비인간 영장류의 호기심 연구는 제약이 많다. 호기심의 전염성은 물론, 호기심 행동에 대한 기본적인 실험을 디자인하려면, 영장류가 실험에 참여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맛있는 음식 같은 ‘외적 보상’을 줘야한다. 그러나 이렇게 피할 수 없는 ... ...
- [특집]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진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마지막으로 발생한 규모 5 이상의 지진은 약 5년 전이었습니다. 2017년 11월 15일 포항 북구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이었죠. 우리나라 밖에 있는 판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이 충돌이 판 내부의 단층으로 전달되어 지진이 발생하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 ...
- [4컷 만화] 무분별한 로켓 발사, 오존층 파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부추긴다고 밝혔어요. 블랙카본은 햇빛을 흡수하는 양이 다른 물질을 모두 합한 것보다 약 500배 많아 대기에 열기를 가두거든요. 또 오존층을 파괴할 수 있다고 했지요. 성층권에는 오존이 밀집되어 있어요. 오존층은 강한 자외선을 흡수해 지구상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분자는 약물 효과가 있지만, 다른 한 분자는 독성이 있어 위험한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약을 만들 때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해서 필요 없는 쪽을 없애거나, 처음부터 필요한 쪽만 만들 수 있어야 하죠. 하지만 이는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화학자들은 유용한 ... ...
- 물리적으로 그네타는 궁극의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것으로 확인됐다. 그 다음 흔들리는 폭이 늘어날수록 몸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평균 약 7ms(밀리초는 1000분의 1초)씩 더 빠르게 했다. 이렇게 모션을 캡처한 데이터는 연구팀이 과거의 두 모델을 조합해 만든 새로운 모델과도 정확히 일치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네를 탈 때 추진력을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얻을 수 있는 이산화탄소와 물을 모두 대기에 더해도 화성 대기압은 지구 대기압의 약 6.9%에 불과하다. doi: 10.1038/s41550-018-0529-6 그러니 명심하자. 화성 테라포밍에 투자하려면 과학적 타당성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할지 꼭 살펴볼 것. 03 땅만 보지 말자 | 얻을 수 있는 자원도 살펴볼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다고 말하긴 어려울 지 모른다. 관절 꺾기 실험은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에 너무 빈약했고, 피치 낙하 실험은 과학적 중요성보다는 과학의 재미를 찾는데 초점이 맞추어진 실험이었다. 메인스톤 교수는 이그노벨상 시상식에서 “우리가 과학의 즐거운 측면을 보길 멈춘다면, 모든 것이 끝이다”고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D 프린터의 설계도와 조작 기술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습니다. 렙랩 프로젝트는 4만 달러(약 5340만 원)나 하던 3D 프린터 가격을 3D 프린터기 제작 실비 수준인 400달러(약 53만 원)로 낮췄습니다. 저렴해진 3D 프린터는 사람들로 하여금 더 많은 재료를 사용해 3차원 출력을 시도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공계 박사 학위를 받은 조선인은 고작 12명에 불과했다. 학부 졸업생을 다 합쳐도 약 300명 남짓이었다. 일제가 한국인 과학기술 인력의 교육을 억제했던 탓에, 이공계 전공 대학 졸업자가 평균적으로 1년에 10명에도 미치지 못했던 것이다. 어렵게 과학 공부를 마친다 해도, 한반도에 과학기술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