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있을까요? 도형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면 원의 무한한 회전 대칭이 수학에서 왜 중요한지 상상이 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위원군은 여러 수학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예상치 못한 곳에서 나타납니다. 마치 원주율이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오일러 항등식(eiπ+1=0)에서 나타나는 것처럼요. 정n각형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했죠. 이 때문에 게임을 하는 사람은 명확히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상상하게 되고 미스테리한 느낌을 받습니다.림보에서는 공간감을 표현할 때도 무채색을 활용합니다. 게임을 하는 사람의 시선에서 볼 때 화면에서 매우 가까운 공간은 낮은 명도(저명도) 영역의 무채색인 검정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강하게 자리 잡으며 미술 작품은 대부분 종교와 관련된 주제로 채워졌다. 예술가의 상상력과 자유는 철저히 배제되고, 종교적 의미에 맞춘 상징 미술만이 있었다. 색 하나, 대상의 배치 하나에도 제한이 있었다. 15세기에 이르러 서양 미술은 전성기를 맞았다. 절대왕정이 자리 잡았고, 종교 개혁이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을 잘하는 사람에게 질투가 난다고요? 괜찮습니다! 조난숙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님도 그랬거든요. 수학이 마냥 좋아 수학교육과에 입학했지만, 그곳에서 진짜 ‘수학 천재’들을 보며 질투심이 생겼죠. 하지만 수학 천재가 아니어도 세상에 할 수 있는 일은 정말 많았습니다. 조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단어들에 멈칫했다. ‘테라포밍’ ‘우주쓰레기’ ‘나노봇’. 영화 승리호가 상상한 2092년의 이 세 단어가 2021년 현재에는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들여다봤다. “지구는 생명의 공간이고 우주는 죽어있는 공간이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반대가 됐죠.”생명의 땅 지구는 더이상 없다. 대지는 황폐했고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초콜릿 만들기, 영롱한 초콜릿의 비밀은 템퍼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물과 같은 저분자의 상태변화보다 조금 복잡합니다. 쟁반 위에 물체를 늘어놓는 모습을 상상해 봅시다. 카카오버터 속 지방 분자들은 마치 실과 같습니다. 실 여러 가닥을 촘촘히 배열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죠. 실을 쫙 펴서 줄지어 늘어놓을 수도 있고, 격자로 교차해서 그물 모양을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_ 인터뷰김선영 픽사 레이아웃 아티스트“마법같은 화면 구성의 비밀은 창의력과 상상력의 하모니!” 레이아웃 아티스트는 화면 속 요소들의 전체 구성을 설계하는 일을 합니다. 김성영 아티스트는 미국의 영화제작사 픽사(Pixar)에서 2013년 ‘몬스터 대학교’를 시작으로 ‘토이스토리4(2019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끝없이 세면 어디까지 셀수 있을까?”를 궁금해할 수도 있죠. 하지만 무한이란 개념을 상상해보는 것과 달리, 무한을 다루고 이해하는 건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무한을 다루는 일은 실제로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가 미적분을 처음 고안하고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수학자들의 ... ...
- KAIST 50년, 과학을 사회에 돌려주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탐구하고 다양한 KAIST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과학기술과 사회의 건강한 관계가 무엇일지 상상해 봤다. KAIST를 보도한 역대 과학동아 기사를 통해 그 안에 비친 국내 과학기술의 역사도 함께 들여다 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KAIST 50년, 과학을 사회에 돌려주다 Intro.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의 창의성을 더 키워주는 등 우리가 상상하지 못한 기계가 등장하는 데 보탬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지금은 일단 저 자신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재밌는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 목표”라며 웃었다. 두 분야 접목해 새 영역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