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장에"(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독자 기자가 대전으로 출동했다. 목적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독자 기자의 뜨거운 탐구 열기로 추운 날씨마저 한풀 꺾였다는 소문이 돌던데…. 그곳에선 과연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독자 기자를 가장 먼저 맞이한 ...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한국은 ‘패딩 천국’이다. 유행에 민감한 고교생뿐만 아니라 직장인도 남녀 가리지 않고 코트나 재킷 위에 패딩을 입고 출근한다. 백화점에서는 수백 만원이 넘는 명품 패딩을 재고가 없어서 못판다.한국 겨울 날씨에 두꺼운 패딩 필요없다패딩을 입을 정도로 한국이 정말로 추운 것은 아닐까. 러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이슬 모으는 탑 와카 워터올해 8월, 브라질 상파울루에 있는 빌라 로보스 공원에 독특한 모양의 탑이 등장했어요. 마치 삼각형 무늬가 그려진 커다란 꽃병 안에 주황색 물이 들어 있는 듯한 모습이었지요. 이 탑의 정체는 이탈리아 건축 디자이너 아르투로 비토리와, 스위스 출신 건축 디자이너 안드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여러분~, 여기예요! 잠깐, 쉿! 다른 펭귄들에게 들키지 않게 조심하세요! 제가 누군지 모르겠다고요? 펭귄들의 다리를 잘 보세요. 이제 저를 찾았나요? 저는 편집부에서 파견한 스파이 펭귄로봇이랍니다. 다리 대신 바퀴가 달려 있지요. 최근 남극에서 미스터리한 사건이 많이 일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1965년 폴란드 연구팀은 몽골 남부에 있는 고비사막 알탄울라에서 거대한 앞발 화석을 발굴했어요. 연구팀은 이 공룡에게 ‘독특하고 무서운 손’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데이노케이루스(Deinocheirus)’라고 이름지어 주었어요. 다른 부위의 뼈 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아, 데이노케이루스의 정체는 50 ...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휘이~잉~.’으악~! 또 바람이 불기 시작했어. 내가 왜 이렇게 바람을 싫어하냐고? 바람이 불면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잖아. 거리에도, 공원에도 온통 낙엽투성이가 된다고. 이것 봐! 분명 아침에 깨끗하게 쓸었는데 벌써 이렇게 낙엽이 또 잔뜩 쌓였어. 휴~. 가을만 되면 이렇게 잔뜩 생기는 낙엽, ...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난 친구들보다 키가 한 뼘도 넘게 커. 그래서 친구들도 다 날 부러워하지.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엄마께서 내가 너무 큰 게 병 때문일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시지 뭐야? 병원에 한번 가보자고 말이야. 너무 많이 크는 거라면 거인병인 건가하고 생각했는데, 글쎄 이름도 처음 들어보는 ‘성조숙증’ ... ...
- 짜디 짠 라면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뎅뎅뎅~! 시계가 종을 열 번 울렸어. 매일 밤 열 시가 되면 나, 닥터 그랜마는 남들 몰래 하는 것이 있지. 바로‘야식 먹기’야, 호호! 야식은 라면이나 햄버거가 최고지! 내 절친 뇌박사는 건강을 생각한다면 야식을 당장 끊으라고 잔소리를 해. 특히 라면이 몸에 나쁘다는 거야. 내가 라면을 좀처럼 ... ...
- 새의 조상은 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안녕? 지구 정복을 꿈꾸는 세계에서 가장 사악한 악당, 닥터 그랜마야. 하늘을 정복하기 위해 지난 주, 온 몸에 깃털을 꽂고 새 모임에 갔었는데, 글쎄 공룡이 새의 조상이라지 뭐야? 정말 놀라운 얘기를 듣고 그만 내 몸에 붙어 있는 깃털들을 털고 정체를 드러내버렸어. 우하하, 그덕에 오늘 공룡과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지난 2월부터 서아프리카의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3개 나라에서 시작된 에볼라바이러스가 주변 나라에 퍼지고 있다. 지금까지 135 0명이 ‘에볼라 출혈열’로 사망 했다(8월 20일 현재).※ 실감나는 기사를 위해 이 기자가 직접 아프리카에 간다고 가상으로 설정했습니다.안녕? 나는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