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간단
단일성
빈약
d라이브러리
"
단순
"(으)로 총 3,08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회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그래프 이론을 쓴다. 이처럼 경로 찾기 문제는
단순
히 점과 선 위에서 길을 찾는 문제에 불과하지만 활용도가 무궁무진하게 넓은 분야라는 걸 생각하며 20×20 격자의 경로 찾기를 풀어 보자. 오일러 프로젝트 15번 문제를 해결하려면? 경로 찾기 문제는 어떤 ... ...
Part 2. 수학교육 찬반 토론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되는 방법을 고민하다 관점의 차이가 생겼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아직은 수학 교육이
단순
해지는 것이 학생들도 걱정되는 측면이 있는 모양입니다. ● 안건 2 - 수학 시험 객관식에서 주관식으로! 찬성하시나요? 유경 : 객관식 시험은 단편적인 지식만으로도 풀 수 있지만, 주관식은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g-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수학자들이 연구해오던 다면체가 갖는 성질을 하나 더 깊게 이해하게 됩니다. 이렇게
단순
해 보이는 대상에 수많은 대칭성의 비밀이 숨어있으니 정말 신비롭지 않나요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 중 인지질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세포 전체를 둘러싸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는
단순
한 역할만 하는 것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게 전부가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인지질은 신경신호 전달의 핵심인 이온 통로와 직접 결합해 신경물질 전달을 조절하는 ‘조절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나타난다. 그러면 이 위에 달 토양으로 만든 블록을 차곡차곡 쌓아 기지를 완성한다.
단순
한 작업처럼 보이지만 이 기술을 실현하려면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숙제가 있다. 달 토양으로 단단한 블록부터 만들어야 한다. 애드베니트 마카야 유럽우주국 과학기술센터 첨단제조 엔지니어가 이끄는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하면 쉽지 않습니다. 이번 연구의 증명을 위해서는 확률을 매우 깊게 사용합니다. 그런데
단순
하게 친구 사이를 결정하는 것을 확률로 한다고 해서 좋은 부등식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확률을 사용할 뿐 아니라 다른 아이디어도 잘 섞어야 비로소 좋은 부등식이 얻어집니다. 사실 램지 수로 생각할 수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것에서 수학이 보편타당한 지식을 다룬다는 사실이 드러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순
히 기하의 성질을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증명’이라는 수학의 핵심 아이디어에 다가갈 수 있게 할 거라는 뜻이다. 기하학자인 김영욱 교수는 “평면에서의 ‘거리’라는 개념도 피타고라스의 정리 ... ...
돼지 게임 전략? 수학으로 찾으면 되지!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피그의 최적의 전략을 찾는 데 도전장을 냅니다. 크니치아의 전략은 직관적이고
단순
하긴 하지만, 완벽한 답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크니치아의 방법은 이길 확률보다는 순서가 돌아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예상 점수였지요. 두 컴퓨터 과학자는 가능한 모든 게임 상태에서 수학적으로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소수를 찾는 ‘마법의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x2+x+41이라는
단순
한 식에서 x에 0부터 39까지 수를 넣으면 차례대로 소수가 답으로 나옵니다. 40개에 불과하기는 하지만 오일러는 소수라는 벽돌을 만드는 기계를 만들어 순서대로 하나씩 쌓아올렸습니다. 18~19세기에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따온 거란다. 우리는 5~12월이 되면 해 질 녘에 노래를 불러. ‘퉁 퉁 퉁’ 하고
단순
한 소리를 낸 다음 ‘크릭 크릭’ 하는 복잡한 소리를 번갈아 내지. 그런데 나는 도시로 옮겨오면서 ‘크릭 크릭’하는 소리를 더 많이 내게 됐단다. 일리 : 도시로 서식지를 옮기면서 노랫소리를 바꿨다고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