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폭풍 사진을 30명이 관찰하며 그린 다각형입니다. 안쪽 경계와 바깥쪽 경계를 어렴풋이 구분할 수 있죠. 천문학자들은 점의 밀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태양 폭풍의 경계를 다시 그렸습니다. 이를 이용해 태양 폭풍이 어떻게 진행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죠!시민천문학자의 도움으로 태양 폭풍을 ...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환자가 방문했을 때 유전자 증폭 검사(PCR)를 하기 전까지는 어떤 바이러스가 원인인지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다. 환자가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에 모두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더욱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체내에 고여있는 액체가 흉수나 복수와 같은 체액인지 해동 과정에서 생긴 액체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또한 조직이 얼었다가 녹으면 이전 상태와 달라지기 때문에 조직 검사 결과도 부정확하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해양동물을 부검할 수 있는 인력은 10명 내외라 어쩔 수 없이 ... ...
- [스쿨리포트 A+] 직접 할 수 없는 과학 실험, 가상 탐구 포스터 제작하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준비)’ ‘포스터 제작하기(제작)’ ‘발표 및 심사하기(공유)’ 등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합니다.먼저 준비 단계에서는 과학적 이론이나 가상의 상황이 문제로 주어지고, 조원들이 이를 풀 수 있는 가설과 실험을 설계해 활동지에 적습니다. 그다음 제작 단계에서는 활동지에 작성된 내용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intensity)’예요. 진동이 지층, 건물, 인간에게 어떤 효과를 미쳤는지로 지진의 세기를 구분하지요.예를 들어, 미국에서 쓰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VI(6)이 되면 ‘모든 사람이 느끼고 무거운 가구가 움직이며, 굴뚝이 파손되는 등 가벼운 피해가 발생’하죠. 나라에 따라 ‘일본 기상청 진도’ 등 ... ...
- [헷갈린 과학] 산딸기 vs 복분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3m까지 자라고, 새로 난 줄기를 보면 하얀색 가루로 덮여 있어, 겨울에도 산딸기나무와 구분하기 쉽다. 또 한 잎자루에 6~7개의 작은 잎이 붙어 있는 겹잎이고, 꽃은 연한 분홍색이다. 열매를 이루는 작은 알갱이들은 산딸기보다 더 둥글둥글하며, 붉었던 색이 익을수록 점차 검게 변한다. 잠깐! 베리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같은 식에서도 여러 답이 나올 수 있다. 심지어 어느 쪽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다. 2011년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던 문제를 보자. 사칙연산으로만 이뤄진 간단한 수식이지만 답은 2가지로 나뉜다. 288과 2다. 288을 주장하는 쪽은 48÷2를 먼저 계산하고 괄호 안의 계산 결과인 12를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월드에 빠지게 하는 마법 원근법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이용하면 2차원 평면에 3차원 입체 공간을 나타낼 수 있고, 구성 요소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만들어 게임 화면에 질서를 줍니다. 또 플레이어에게 자신의 캐릭터가 가야 할 길이나,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잘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현실과 비슷한 환경을 구현해 시각적으로 익숙하게 만들어 ... ...
- [스쿨리포트 A+] 과학적 논리 표현하기, 과학탐구 토론대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개요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서론과 본론, 결론을 명확히 구분해 쓰거나 첫 페이지에 목차를 제시해 내용이 한눈에 들어올 수 있게 작성하기를 추천합니다. ■ 좋은 평가를 받으려면? ❹ 경청하는 습관과 순발력 갖추기과학탐구 토론대회를 진행할 때 일부 학생은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적외선과 다양한 파장에서 촬영한 천체 사진을 보면서 원시행성계 원반인지 아닌지를 구분합니다. 하지만 사진으로 촬영한 원시행성계 원반 후보가 수십억 개에 달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는 이 과정을 시민천문학자에게 맡겼습니다.판단 기준은 ‘원’입니다. 천체를 촬영한 사진에 크기가 다른 두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