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쉬움
간편
편리
d라이브러리
"
용이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02
몇가지 고려해야할 점이 있다.□ 멀티팀버기능 : 몇년전만 해도 미디음악을 하려면 비
용이
엄청나게 필요했다. 즉 신서사이저 한대가 한가지 악기의 역할밖에 못해서 피아노소리에 맞추면 피아노 구실만 했고, 트럼펫 소리에 맞추면 역시 트럼펫의 역할을 하는 등 오로지 한대의 구실밖에 못했다. ... ...
피코초 시대로 돌입
과학동아
l
199102
선보였다. 화합물반도체가 아니면 실현곤란한 피코초 수준의 속도를 고집적이
용이
한 실리콘으로 실현한데 큰 의미가 있다. 이를 이용한 슈퍼컴퓨터 광통신용칩 등이 3년이내에 제품화될 예정이다.히타치는 광기술을 이용해 16메가 S램용 메모리셀을 개발했다. 시제품의 크기는 9.5평방미크론(μ)으로 ... ...
찌르레기 둥우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02
습기를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보다는 흡혈충 방제(防除)
용이
라는 설명이 더 적절해보인다.흡혈충들은 어린 새들에게는 치명적인 존재다. 한 예로 둥우리에 진드기가 번식하면 부화한지 얼마안되는 어린새들은, 매일 적게는 전체혈액의 10%에서 많게는 40%까지 빼앗겨 수일내로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01
칩세트(ship set, 여러개의 LSI를 1개의 칩으로 모은것)로 압축했다. 컴퓨터의 생산이 훨씬
용이
해졌으며, 불량률과 생산수율이 개선되었고, 가격은 급격히 하락했다. 실제로 'PC'(퍼스널 컴퓨터)란 명칭을 IBM에서 사용한 후 IBM은 기본적인 아키텍처만을 제시했을뿐 오히려 클론업체들이 훨씬 기술발전에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01
있어 화학에 필요한 정보를 얻으려면 언제든지 도서관에 가서 이것저것 뒤져보는 것이
용이
하다.미국의 이공계 대학들은 대부분이 대학원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부과정에서는(한국에 비해) 전공과목을 그리 많이 수강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학에서 같은 4년을 공부한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01
원시적인 생명체를 발견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경주돼 왔다. 이러한 탐색은 결코
용이
한 일이 아니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34억년 이전의 암석에서 생명체가 존재했던 증거가 드디어 발견됐다. 이 고대암석을 얇은 절편으로 만들어 현미경으로 관찰해보았더니 세균의 흔적같은 것이 나타났다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01
경우가 적지 않으며 아울러 남한과의 과학기술교류도 전반적인 화해무드에 편승해 보다
용이
해지리라는 낙관론이 대두된다. 일례로 우리쪽 학자들과 접촉했던 북한학자들은 "89년 8월 김정일선생께서 남한과학자들과 허심탄회하게 만나라고 하셨다"는 발언을 해, 남북과학기술교류에 대해 북한측이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12
고(高)부가가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이것을 대장균과 같이 증식이
용이
한 미생물에 집어 넣어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면 그 유전자에 암호화돼 있는 단백질을 다량으로 합성,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용(有用)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작물이나 가축에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12
확보되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수의 확보에도 문제가 있었다.골수기간세포의 사
용이
벽에 부딪친 후 미국립보건원의 F. 앤더슨박사는 기간세포를 사용할 수 없더라도 이입된 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이 혈액내로만 나올 수 있으면 치료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판단아래 혈관내막세포(endothelial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12
핵산의 존재에 대한 학설이 정립돼 있지 않은 상태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관찰도 결코
용이
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처음에 학자들이 그 병원체를 바이러스로 보았던 까닭은 이렇다. 우선 당시의 과학적인 상식으로는 단순한 단백질이 질병을 일으킬 수 없었다. 또 설령 단백질이 존재하는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