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미늄
알루미눔
알류미늄
알루미늄분말
분말
알루미늄새시
새시
d라이브러리
"
알루미늄
"(으)로 총 704건 검색되었습니다.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02
베어링이 들어있어 활동성을 향상시킨다. 우주복을 단면으로 잘라보면 단열을 위한
알루미늄
코팅 특수섬유(Mylar)가 다섯겹 있고, 네 층의 폴리에스터(Dacron) 부직포 층이 있다. 또 그 위에 단열과 마모방지를 위한 두겹의 폴리아미드 섬유(Kapton)층과 테프론이 코팅된 직물이 자리잡고 있다. 가장 바깥 ... ...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
과학동아
l
200002
그리고 항공기와 자동차에서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쇠처럼 강하면서 동시에
알루미늄
과 같이 가벼운 경량합금이 유용하게 쓰인다. 이외에도 금속이 만들어질 때의 형상을 기억하고 있어 변형되더라도 가열하면 순식간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과 기체 상태의 수소를 1천배 ... ...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
과학동아
l
199912
사용한 차보다 43%나 가벼운 A2를 지난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 출품했다. 하지만 아직
알루미늄
이나 마그네슘 같은 경량재료는 철강재에 비해 가격이 2배 이상인 것이 보급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 때문에 기존 소형차의 철강 차체에 직분식 엔진을 적용하고, 엔진효율 개선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고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12
깡통 대신 스틸 깡통을 사용해도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다만 약간 무겁기 때문에
알루미늄
깡통 때보다 더 많이 마찰시켜야 한다. 풍선 대신 플라스틱 책받침이나 비닐봉지를 사용해도 같은 현상을 볼 수 있다. 겨울철은 건조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풍선을 머리에 문지르면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10
투과력은 알파선, 베타선, X선, 감마선 순으로 커진다(그림1). 베타선은 종이를 뚫지만
알루미늄
판은 뚫지 못하다. 그러나 감마선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로 막아야 할 정도다. 투과력이 큰 방사선일수록 에너지가 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이해하면 된다.그런데 불행하게도 지구에서 살아가는 ... ...
자석 바퀴
과학동아
l
199910
알루미늄
과 자석으로 레일과 바취를 만들어 전류를 흘려보자.■왜 그럴까?레일을 가로지르는
알루미늄
관에 전류가 아래에서 위로 흐른다고 하자. 레일 양쪽에 매달려 ... 작용한다. 즉 레일에 걸쳐놓은
알루미늄
횡단면 양쪽에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알루미늄
관은 회전한다.(그림3)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먹으면 설사를 한다. 이때 배탈을 진정시키기 위해 먹는 약에는 활성탄소나 규소화
알루미늄
분말 같은 흡착제가 들어있다. 이것들은 장 속의 독성 미생물을 빨아들임으로써 장속의 평화를 되찾아 준다.소화제소화제 성분의 대부분은 제산제다. 위벽에서 분비되는 위산(염산)은 음식물에 들어있는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④ 두 병을 그림과 같이 적당히 잘라 검은색 테이프로 이어 붙인다.⑤ 맨 앞과 뒤를 빼고
알루미늄
포일로 틈이 없도록 병의 겉면을 감싼다.⑥ 병마개 부분이 눈 쪽에 오게 해 태양을 바라본다.⑦ 도화지의 작은 구멍을 통해 들어온 태양 빛이 주둥이에 붙인 반투명 테이프에 상을 만들면 자를 이용해 ... ...
전류로 만드는 소용돌이
과학동아
l
199910
(-)극에 연결했다고 하자. 여기서 소금물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해질이다.
알루미늄
판을 연결하는 도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전류의 방향은 위에서 아래방향이다. 그리고 자기장은 왼쪽 방향이다. 그러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전류와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작용으로 힘의 방향이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10
캔은 외부의 대기압에 의해 납작하게 찌그러진다. 뜨거운 물을 넣은 페트병의 경우도
알루미늄
캔의 경우와 동일하다. 페트병에 뜨거운 물을 담을 때, 너무 뜨거운 물을 넣으면 그 열로 인해 플라스틱이 찌그러들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기압 차이로 찌그러진 페트병은 뚜껑을 열면 다시 원래의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