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6,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신하 교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의 뇌가 경험과 학습을 통해 후천적으로도 시각을
배
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물론 경험과 학습을 통한 뇌의 변화에도 한계는 있어서 완전하게 시력을 회복하지는 못했어요. 그래도 실명환자들이 사물의 형태와 색,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게 됐다는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05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
배
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Part 1. 60
배
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
수학동아
l
201605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
배
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
수학동아
l
201605
기대가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
배
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05
아닐까. 이승구 생명연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효능을 가진 물질이 발견될 때마다 재
배
면적을 늘리는 방법으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는 없다”며 “하나의 사례로 합성생물학의 한계를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Part 1.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05
지나면 피부에 균열이 생기면서 시신에 쌓여있던 가스와 부패 물질들이 몸 밖으로
배
출된다. 이때가 시신이 부패하는 전 과정을 통틀어 냄새가 가장 심한 시기다. 부패 물질이 퍼져나간 시체 주변 영역을 시체부패섬(cadaver decomposition island)이라고 부른다. 부패 물질의 영향으로 이 부분의 풀들이 말라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
과학동아
l
201605
수 있다.특히 비만도가 높은 사람은 혼자 식사할 때 더 많이 먹고, 음식이 남으면
배
가 불러도 더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영미, ‘비만도에 따른 대학생의 혼자 식사 및 함께하는 식사 시의 식행동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2). 타인과 함께 식사할 때는 섭취량을 조절하지만 혼자 식사를 할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05
내 생명을 이어나갈 수 있을까요?합성식이요? 아녜요. K박사와 그 추종자들이 자신들의
배
설물을 먹기 시작한 건 결코 불교나 자이나교의 불살생을 곡해한 듯한 추상적이고 사이비 종교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었어요. 지구 행성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확한 분석에서 비롯한 것이었지요.인류의 ... ...
[과학뉴스]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맞다고 발표했어요.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장비는 1991년에 만들어진 라이고의 성능을 1000
배
로 높인 ‘어드밴스드 라이고’로, 이를 이용해 관측한 중력파는 1광년의 거리에서 머리카락 하나 굵기를 찾는 것과 비슷한 정도의 아주 작은 크기였답니다.어떤 의미가 있나요?연구팀이 검출한 중력파의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경우 어떤 영향을 받을지 알아본 거지요.이 생물들은 우주에서 18개월 동안 지구보다 1000
배
나 강한 ‘자외선 폭격’을 당하고, 영하 12℃에서 영상 40℃까지 오르내리는 온도 변화를 하루에도 200번씩 견뎌야 했어요. 이후 생물들을 지구에 가져와 분석한 결과, 지의류가 가장 잘 버틴 것으로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