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스페셜
"
이후
"(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어렵다. 그래서 옛날에는 빛의 속력은 무한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갈릴레이
이후
빛의 속력을 알아내려는 많은 과학자들의 시도 결과, 빛이 유한한 속력을 가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빛은 유한한 속력을 가졌다고 생각한 갈릴레이 빛의 속력을 최초로 측정하려고 했던 사람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수열을 뜻한다. 수식으로 간단히 표현하면 y=의 꼴이다. 멱급수의 특징은 ‘일정 시점
이후
의 급격한 증가’다. 쌀 한 톨로 시작해서 체스판의 칸마다 두 배씩 늘려가서 결국에는 왕을 파산시키고야 말았다는 옛 이야기가 멱급수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예다. 소셜미디어는 점과 관계로 이루어진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코넬대의 저명한 신경생물학자 폴 셔먼과 아내인 진화생물학자 자넷 쉘먼-셔먼은 1953년
이후
의 논문을 뒤져 알레르기와 암의 관계를 조사했다. 발암물질이야말로 대표적인 독소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놀랍게도 알레르기와 암발생이 서로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인체에서 외부와 ... ...
[웹툰] 못잊을 친구 데릭
KOITA
l
2013.10.23
도와주는 것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oligopeptides를 완벽히 만들어낼 수 있었고,
이후
내 스스로도 문제없이 oligopeptides를 합성해내 졸업에 필요한 실험을 잘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요즘도 일이 막힐 때면 그 친구 생각이 많이 나고, 나도 또한 다른 동료에서 그런 존재가 될 수 있을까 하는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나섰고 복잡한 동맹관계로 얽힌 영국, 프랑스, 투르크 등이 줄줄이 끌려들어왔다. 사건
이후
30일도 지나지 않아 동유럽 한켠의 국지 분쟁으로 끝날 수도 있었을 사건이 거대한 전화로 번져버렸다. 놀라운 것은 제2차 세계대전과 달리, 당대의 역사가들은 전쟁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었다는 점이다. 2 ... ...
과학꿈나무들이 펼치는 우주과학축제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개최된다. 전국항공우주과학경진대회는 지난 2003년 모형로켓경진대회로 시작한
이후
점차 물로켓․고무동력기․글라이더 종목을 추가해 항공우주분야 종합대회로 성장한 국내 최대 규모의 청소년 우주과학축제이다. 지난 5월부터 전국 13개 지역별 예선을 통해 8천여 명의 학생들이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육조거리에서 북을 쳐 종루에 전달한다. 종루에 시간이 전달되면 보신각의 종이 울리고,
이후
남산의 봉수대를 통해 한양 성 밖까지 널리 시간을 알렸다고 한다. 이런 방법으로 조선시대의 사람들은 표준시계인 자격루가 알리는 시간에 따라 생활하며 큰 불편함 없이 생활을 해 나갈 수 있었다. 1 ...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08
된다. 2001년 아이팟을 출시하며 컴퓨터 업체로서는 의례적으로 음악 시장에 뛰어들었고
이후
2007년엔 아이폰을 출시해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 우뚝 섰다. 명실상부 아이맥은 기사회생한 애플의 일등 공신이다. 잡스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소비자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물은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전공한 그가 컴퓨터학과 교수로 임용된 배경이다. 그는 15살에 괴델을 알게 된
이후
그의 불완전성 원리에 대한 짧은 책을 쓰려다가 에셔와 바흐의 작업에서도 공통점(재귀순환으로 대표되는 무한성)을 발견하고 작업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박사학위 내내 저술작업을 병행했고 1977년 인디애나대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졸업하고 1979년 로 신인문학상을 수상하여 문단에 데뷔했다.
이후
여러 작품을 쓴 후 을 통해서 일본에서 하루키 신드롬을 낳았다. 한국에서도 90년대 초반에 이 등의 제목을 달고 출간되자 하루키 신드롬이 일어났다.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