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두사람이 발견의 공을 똑같이 나누어 인정받게 됐다.그러나 해왕성을 제일 먼저
본
사람은 이 행성이 발견되기 2백34년 전 갈릴레이(Galilei)였을 가능성이 많다. 해왕성의 궤도 계산에 따르면 이 천체는 1613년 1월에 목성과 아주 가까이에 위치했었다. 그런데 갈릴레이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1612년 12월2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깊이가 2.0으로 낮아져 인간의 수면이 소음도에 영향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위에서
본
바와 같이 수면시 소음에 노출되면 수면의 깊이가 낮아지는 변화가 일어나고 심하면 깨게 된다.개인별 차이 때문에 소음도와 수면의 관계를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렵지만 항공기 소음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나라새(국조)라고 생각할만큼 우리 민족과 관계가 깊다. 때문에 까치 구경 한번 못해
본
울릉도 주민들에게는 '까치 방사'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그러나 이 행사가 울릉도가 보유하고 있는 고유의 생태계를 파괴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조류학자들 사이에 제기되고 있다.울릉도는 내륙과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홍수나 동물의 기동성을 고려할 때 퇴적층 어디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은 늘 있다고
본
다.노아의 홍수 이전에는 인간의 수도 적었고, 어느 특정한 지역에 모여 살았다고 생각된다. 그 당시 사람들이 구태여 거구의 매머드가 서식하는 지역과 가까운 곳에서 살았어야 할 이유는 없다. 따라서 인간화석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모습으로 깊은 인상을 남긴다. 미국의 유명한 아미추어 천문가 한사람은 "우연한 기회에
본
구상성단이 나의 삶을 바꾸어 놓았다"고 말했다. 당신이 처음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산책할 때 그의 말을 당신 자신도 중얼거리게 될 것이다.파섹(parsec)우주공간에서 천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가장 큰 단위.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근면과 검약 그리고 철저한 서비스정신에 의해 뒷받침된 생활철학 또는 직업윤리가 일
본
의 과학(=과학기술)발전을 위해 플러스가 되었으면 되었지, 결코 마이너스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앞으로 과학과 기술이 분리되는 새로운 상황이 빚어지지 않는 한은 말이다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간의 손으로는 불가능한 과학기술계산을 식은 죽 먹듯 순식간에 해치우는 슈퍼컴퓨터의 탄생에 얽힌 뒷얘기들을 엮어
본
다.비행기를 새로 개발하려는 회 ... 그것은 CDC를 뛰쳐나온 크레이가 만든 크레이-Ⅰ이라는 슈퍼컴퓨터였다. 드디어
본
격적인 슈퍼컴퓨터의 시대가 개막된 것이다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구성돼 있다.한 동물학자는 암수가 섞인 그룹은 자주 목격되었지만 암컷들만의 집단을
본
경우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치타가 나무에 상처를 낸, 즉 특별한 표시를 한 장소에는 암컷보다 수컷이 훨씬 더 많았다고 얘기한다. 이 그룹의 총 47마리 중 수컷은 39마리였고 8마리가 암컷이었다고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보고를 할 때 PC통신을 이용하지만, 그밖에도 성명서나 기타 문건들을 작성할 경우 기
본
골격을 넣어 놓으면 여러 사람이 열어보고 자기생각을 첨가해줘 굳이 모이지 않아도 의견수렴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 모이기 전에 미리 안건을 알려 평소 4~5시간씩 걸리던 회의시간을 많이 줄이기도 했다.89년 1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한다고 예언했다. 즉 태양의 표면을 스쳐오는 별빛은 위로 가속된 엘리베이터에서
본
별빛처럼 구부러진다는 것이다. 그가 계산했던 별빛이 구부러지는 값은 1.75초였는데 실제로 1919년의 개기일식 때 관측된 값은 두 곳에서 1.61초±0.31초와 1.98초土0.12초로 나타나 그의 이론을 실증하기에 충분했다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