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이 센터장은 “질병과 관련한 단백질 네트워크 모델을 만든 뒤 이를 분석하면 어떤 단백질이 핵심 역할을 하는지 해석할 수 있다”며 “그 단백질을 추천하면 연구자들이 실험해서 질병과의 관계를 검증한다”고 말했다.질병 유형과 원인 밝히는 정밀의료 ...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실행에 옮겨지기 시작했지요.이 프로젝트는 올 봄 일본 대마도 지역에서 실험을 거친 뒤, 2020년부터 전 바다의 쓰레기를 청소하는 ‘쓰레기 청소 대작전’에 본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에요. 보이얀 슬랫은 “배를 타고 나가 사람이 직접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비용은 3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오히려 거꾸로 작게 보인답니다. 볼록렌즈를 통과한 빛은 한점으로 모이는 초점을 지난 뒤, 다시 퍼지게 돼요. 이 지점에 우리가 보는 상이 맺히기 때문에 거꾸로 된 작은 상을 보게 된답니다.볼록렌즈를 사용해 멀리 있는 것을 크게 보여주는 굴절망원경에는 물체에서 나온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 ...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역할에 신경 쓰고 있습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낸 보고서를 보면 앞으로 5년 뒤면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해요. 앞으로 새로 생기는 직업은 200만 개 정도인데, 그중 40만여 개가 수학과 컴퓨터 분야의 일자리라고 합니다.수학동아 : 수학이 정말 중요해지는 거로군요.이향숙 : 맞아요.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테렌스 타오와 티머시 가워스 등이 댓글로 축하 메시지를 보냈습니다.그런데 이틀 뒤 네덜란드 수학자 디온 헤이스베이트가 사실 지난주에 자기도 비슷한 증명을 하고 있었다고 댓글을 답니다. 두 사람이 서로의 증명을 비교해 보니 너무 비슷해서 두 사람은 공동 논문을 쓰기로 결정하고 결과를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요소가 담긴 수학소설을 창작하지요. 매우 힘든 작업이지만 수학소설을 만들고 난 뒤 학생들의 성취감과 희열은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큽니다.넷째, 정보팀은 창의적이고 재미난 주제를 선정해 전교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통계를 활용한 설문조사는 학생들이 가장 흥미롭게 읽는 부분 중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눠 지루함, 자연스러움, 외로움을 떠올리게 했다. 이어서 참가자끼리 자유롭게 대화한 뒤 친밀도를 평가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느꼈던 참가자는 취향이 비슷한 이를 더 친밀하게 평가했다. 반면 자연스러움과 지루함을 생각한 참가자는 객관적인 조건이 비슷한 이들에게 더 높은 점수를 줬다.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한 나라가 혼자서는 절대로 할 수 없다. 각자 관심 영역에 대한 ‘지도’를 조금씩 그린 뒤에 합쳐야 거대한 극지 연구를 완성할 수 있다. 현재 남극대륙 연안해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International Programme for Antarctic Buoys)을 진행하고 있다. IABP, IPAB 둘 다 한국도 올해부터 참여한다.Q 극지 공동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전자 기판에 ‘짝’하고 부딪히면 점프 높이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나왔다. 교실 뒤에서 쟀으면 누가 더 높이 뛰었는지 으레 설전이 벌어졌겠지만, 바로 숫자로 볼 수 있으니 한 번에 서열 정리가 이뤄졌다. 42cm가 나온 친구는 단연 ‘점프왕’으로 추대됐다. 박재형 군은 “원래 스포츠 과학에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럼 성공한 수가 더 중요한 정보로 남아요. 알파고는 이런 식으로 기보 16만 건을 학습한 뒤에 마치 사람처럼 바둑을 둘 수가 있게 됐어요.그런데 기보만 학습할 경우, 기보에 자주 나오는 ‘묘수’만 정답이라고 인식할 위험이 있어요. 그래서 구글 딥마인드는 알파고가 자기 자신과 대결하게 ... ...
이전445446447448449450451452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