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한다. 만약 센서가 좀 더 민감했다면 다시 찌를 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이것이
가능
하려면 바이오센서가 훨씬 더 민감해져야만 한다. 먼저 바이오센서의 원리는 이렇다.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이 센서의 수용기를 자극하면 거기서 발생하는 신호의 양을 측정한다. 수용기에 물질이 붙었을 때만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한다. 신경다발이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있는지 알아야 치료할 수 있는데, 최근에야
가능
해졌다. MRI(자기공명영상)로 뇌를 촬영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가공하면 뇌 속 신경다발을 볼 수 있다.세계에서 가장 자세하게 뇌신경을 볼 수 있는 기술을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에서 새로 개발했다.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그런데 전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 격자 구조의 매우 얇은 층으로 배열된 그래핀이라면
가능
할 것 같았어요. 그래서 질화붕소★층과 그래핀 두 개를 비스듬히 겹쳐 구현해냈죠.질화붕소★ 질소와 붕소를 고온에서 반응시킨 것.수학동아 : 호프스타터의 나비에는 수학적 구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가진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둥근 표면을
가능
한 실제 도형과 가깝게 다각형으로 쪼개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의 전개도를 그리기 위해 수많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도법으로 구를 바닥에 펼쳐 본 것과 같은 원리다.이때 도형의 곡률을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캐나다 연구진이 영국 ‘왕립학회보B’에 게재한 논문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가능
성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GM 연어와 근연종인 브라운 송어를 교배시켰다. 그 결과 태어난 잡종 자손의 성장속도와 생존력이 부모에 비해 훨씬 뛰어났다고 한다. 현실에서 0.2%의 확률로 불임에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360°로 탐험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장 가장자리에 있는 경로로 모였을
가능
성이 있다. 만약 그랬다면 개미들이 최단 경로를 찾은 건 우연일 수 있었다.그래서 연구팀은 가장자리에 있는 연결통로를 막고 개미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개미들은 수직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 ...
향 분자에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힘을 빌리면 물과 기름이 섞여요. 물 안에 기름을 섞는 것도, 기름 안에 물을 섞는 것도
가능
해요.핸드블렌더(손으로 쥐고 거품을 낼 수 있는 전동믹서)로 빠르게 저으면 마찰열이 생기면서 물과 기름이 섞이지요. 사실 이 현상은 식초방울이 손으로 저었을 때보다 더 작게 쪼개져 기름 속에 퍼진 ... ...
이공계 전공별 추천도서 - 이공계 꿈꾼다면, 이 책만은 꼭! ➐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거리가 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화학반응과 공정도 얼마든지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
한 방향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녹색화학이다. 이 책에는 녹색화학의 바탕이 되는 화학원리부터 현재 인류가 당면한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녹색화학의 예가 알기 쉽게 설명돼 있다 ... ...
홈스테이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계단들이 퍼즐처럼 복잡하게 이어져서 만들어진 길이라, 바퀴 달린 전차는 진입이 불
가능
하다고. 그럼 결국 두 발로 걷는 로봇 말고는…….’단숨에 성벽을 뚫어낼 만큼 충분한 화력을 지닌 중화기를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방법이 별로 없었다.‘이미 완제품이 공장에서 빠져나가고 있다는 건데. 안 ... ...
레이더로 변신한 마이크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고래와 박쥐에겐 있고 사람에게는 없는 능력이다. 하지만 수학과 과학의 힘을 이용하면
가능
하다.마틴 베테를리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컴퓨터및통신과학과 교수팀은 인공적으로 발생시킨 소리를 소수의 마이크로 수집한 뒤, 이를 수학 알고리듬으로 분석해 3차원 실내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 ...
이전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