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713건 검색되었습니다.
'괴짜 천재' 머스크 "어린 시절 게임 덕분에 기술에 관심 가져"
연합뉴스
l
2019.06.14
하는 게임 '폴아웃 쉘터'도 곧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이미 차량에 게임
기능
을 추가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간단한 장르에서 시작해 레이싱·액션 등 갈수록 다양한 종류의 게임이 추가되고 있다. 아울러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도 차 안에서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머스크는 밝혔다.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금세 누구의 아바타인지 알 수 있을 정도였다. 여기에 자동으로 동작을 만들어주는
기능
도 있어 자연스러운 동작이 저절로 생성됐다. 인체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해 아바타 만든다 김정규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연구원이 자체개발한 골무 모양의 도구와 HMD를 착용하고 허공에 그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꽤 그럴듯하게 보임에도 왠지 믿음이 가지는 않는다. 서 있거나 걷거나 뛸 때 중요한
기능
을 하는 발이 다른 신체 장기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세분돼 각각 서로 연결돼 있다는 말인데 뭔가 필연성이 느껴지지 않는다. 물론 서로 떨어진 장기나 조직이 연관돼 있을 수는 있다. 예를 들어 간염이 ... ...
집단지성으로 신약 개발하는 ‘타깃 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후보 약물과 진단용 마커를 개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ARS가 감추고 있는 생리학적
기능
을 밝혀 생명현상을 세밀하게 이해하고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 개발 후보 물질을 찾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 "타깃 팩토리로 국내 신약 개발 글로벌화" 김성훈 단장 인터뷰 김성훈 ... ...
화학硏, 심혈관 및 간질환 치료제 휴온스에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혈액을 충분히 공급해주지 못해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이다. 그 중 심장의 이완
기능
이 떨어져 발생하는 '박출률 보존 심부전'은 전체 심부전 환자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식생활 서구화와 고령화로 인해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임상에서 치료 목적으로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하나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료로봇을 개발하려면 의사가 필요로 하는
기능
을 가진 로봇을 공학자가 만들어야 해,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협업이 중요하다. 다른 분야 로봇과 달리, 의료로봇은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를 치료할 때 사용한다. 이 말은 의학적으로 치료 효과가 있어야 하고 ... ...
온도 제어 세포배양 기술로 인체 유래 상피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연구팀은 "시트 제작 시간은 기존 7일에서 3일로 절반 이하로 단축됐고, 세포시트
기능
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배양 효율 역시 높았다고 밝혔다.. 김동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하이드로젤 기반의 온도감응형 3차원 세포배양 플랫폼은 모든 종류의 세포를 세포시트로 만들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암·맞춤치료 혁명 가져올 '오가노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교수팀 등은 오가노이드가 실제 장기처럼 성장하고 생리적으로
기능
하려면 3차원 형태와 구조가 실제와 비슷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배아 발생 중에 줄기세포가 각 세포로 분화하면서 어떻게 배열되고 각 기관을 형성하는지 관찰해 그 답을 찾고 있다. 제르니카-겟츠 교수팀은 지난해 3월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정답을 알려주는 지도학습 대신, 실시간으로 유입되는 정보를 받아들여 스스로 학습하는
기능
을 갖췄다. 총 13만 개의 뉴런과 1억3000만 개 시냅스를 1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선폭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 중 집적도가 가장 높다.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가 2016년부터 ... ...
'게임의 긍정적 힘' 324명의 게이머가 세상에 없던 단백질 56개를 창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볼 수 없었던 매듭을 묶는 것과 같다. 이후 매듭이 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기능
을 발휘해야 한다. 단백질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 과학자들은 자동 분자 설계 알고리즘으로 단백질을 설계해 왔으나 단백질이 실제로 형성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연구팀은 폴드잇을 단백질 디자인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