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장력에 의해서 강도를 지탱하는 알’이란 뜻이다. 텐세그리티의 원리로 만들어
진
이 텐트는 가볍지만 견고해 히말라야와 같은 극지를 체험하는 등반가들이 주로 사용한다. 2011년 무한도전 오호츠크 해 특집에서 텐세그리티 텐트가 등장하기도 했다.자전거 bicycle보통의 자전거 휠은 트러스트 ... ...
3화 큐피트상과의 한판 승부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여행을 할 때 목적지를 주의해서 선정하라는 경고를 했던 거예요.”데카르트는 얼빠
진
얼굴로 앨리스의 편지의 마지막 부분을 읽었다.“데카르트. 저를 찾아와 줘서 고마워요. 그들이 말했어요. 당신이 찾아올 거라고. 당신을 원망하지 않으니 절대 자책하지 마세요. 전 당신과 친구들을 위해 이 ... ...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
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자기반복성의 정도가 훨씬 더 높다는 얘기다.한편 만델브로가 프랙탈 연구를
진
행하던 시대는 아직 컴퓨터가 본격적으로 수학 연구에 활용되기 전이었다. 당시 IBM 연구소에 근무하던 그는 컴퓨터를 활용해 새로운 통찰을 얻는 연구 방법론을 선구적으로 도입했다. 1979년에 만델브로는 잠시 하버드 ... ...
[체험] 각양각색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때에는 화물칸에 금속 뭉치를 배치해 무게중심을 맞춘다. 따라서 승객들은 반드시 정해
진
좌석에 앉아야 한다.아하! 실험 플러스 다각형의 무게중심도형의 무게중심은 도형의 각 부분이 같은 질량을 가졌다고 가정하고 구한다. 가장 대표적인 평면도형인 삼각형은 각 꼭짓점에서 수선의 발을 내려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취재 수첩에 더욱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 있었다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임
진
혁 기자는 현장의 느낌을 잘 살려 주었습니다. 다만, 앞으로 글을 쓸 때에는 내용을 주제별로 나눠 작성해 보세요. 내용을 전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거예요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한쪽 다리는 이렇게 들어 주시면 됩니다. 그렇게 다섯 시간 동안 서 계시면 제가 아주 멋
진
초상화를 그려 드리겠습니다.뭐야, 이거 뭔가 이상하잖아! 이게 무슨 상이야~? 이건 벌이라고! 나 완전 속은 거 맞지? 으앙~ ... ...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
화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해 정육면체를 제거하면 맹거스펀지가 만들어
진
다. 컵 vs 컵 ➊ 각
진
컵 손잡이로 깔끔하게 해결!베블 컵(Bevel Cup)은 손잡이에 각도를 줘서 아래 쪽을 향하면서도, 컵 가장자리가 테이블이나 선반 표면에 닿지 않도록 디자인 됐다. 덕분에 컵 안에 먼지가 쌓이거나 가장자리에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적고, 반대로 재배 기간의 기온은 높고 겨울철 강수량은 많아야 맛 좋은 와인이 만들어
진
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실제로 와인을 생산하는 곳에서 이 공식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어요.또 다른 예를 살펴볼게요. 현재 미국에서는 독감이 유행해 사망자수가 100명을 넘어섰어요(2월 기준). 따라서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 천이비행은 말 그대로 이륙시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진
로터 달린 날개를 비행시 수평 방향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기계적으로 쉽게 바꿀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사람이 헬리콥터를 조종하는 것과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은 원리가 완전히 다르다. 헬리콥터를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무게다. 날아서 움직이는 비행체는 보다 복잡한 시스템이 요구되기 때문에 더 무거워
진
다. 때문에 우주발사체 안에서 탑재 공간과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비행체를 최소한의 크기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다.우주탐사를 위한 무인기는 이미 연구되고 있다. 탐사 대상 행성의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