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서 학위도 받고 연구도 한다. 2004년 개교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의 설립 취지다. 캠퍼스가 출연연인 만큼 출연연이 50여 년간 축적해놓은 지식과 기술을 현장에서 공부하고, 기초과학부터 융합과학까지 46개 전공 분야에서 전문가들과 함께 연구도 할 수 있다.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지난달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의 팔, 다리, 몸통, 머리 등 기계 구조를 만든 뒤 전력까지 공급했습니다. 이제는 로보트 재권V가 눈을 뜨고 세상을 바라볼 때가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로보트 재권V에게 세상이 어떻게 생겼는지 가르쳐 주려고 합니다. 항상 그래왔듯 로봇을 설계하기 전에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결국 존재의 근원이었습니다. 지마 블루란 바로 지마가 최초로 인식했던 수영장 타일의 색이었지요. 예술적 영감의 근원을 찾아가다가 결국 자신의 근원에 도달했던 것입니다. 카운트 제로에서 상자를 만든 인공지능은 과거에 대한 그리움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듭니다. 상자를 보면 아련하고 ... ...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제 1학년을 막 끝내다 보니 우한대에 어떤 진로 프로그램이 있는지 속속들이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선배들이나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우한대도 다른 대학처럼 재학생의 진로 결정을 돕는 프로그램을 여럿 운영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해외 교류다.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지원해 ... ...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잠깐! 지열발전이라면 화산 지대처럼 땅이 뜨거운 곳에서 하는 거 아닌가요? 포항에 지열발전소가 있다는 건, 땅속에 우리가 알지 못한 화산이라도 있는 걸까요? 화산지대가 아니더라도 지열발전을 할 수 있다!지열발전이란 땅속 깊숙이 있는 땅의 열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걸 뜻해요. 땅 ... ...
- [과학뉴스]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지난 3월 2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보니 버래티 박사팀은 토성의 위성이 서로 다른 모양과 색깔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토성에서는 총 62개의 위성이 발견됐어요. 그 중 연구팀은 토성에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는 5 ...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런데 말이야…. 사실 우리는 지금 매우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있어. 우리 집이었던 (구)농림축산검역본부는 원래 일반인들이 들어오지 못하는 곳이었어. 그래서 개미들이 이렇게 거대한 왕국을 짓고 살 수 있었기도 해. 그런데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우리 집도 사라질지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우리나라 역대 왕조는 하늘의 현상에 민감했습니다. 이것이 천문학 발전의 밑바탕이 됐지만, 그만큼 뛰어난 관측 실력을 겸비한 천문학자가 필요했습니다. 이런 천문학자들에게 수학 실력은 필수였지요. 천문학자가 왜 수학을 잘해야 하냐고요? 고차원 문제도 해결한 수학 실력고려 충선왕은 동 ...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동아리 이름이 ‘수학 천재(Genius Of Math)’라길래 수학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모여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거나 연구 활동을 할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은 거의 없단다. 수학을 나누고 베풀며 무엇보다 모든 걸 스스로 해내야 진짜 수학 천재라고 말하는 인천과학예술영재 ...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르쿠스 크론포스트 미국 시카고대 생태및진화학부 교수팀은 실내에서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는 야생 제왕나비의 습성을 잃어버린다고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제왕나비는 번식기에 접어들기 전 떼를 지어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한다. 하 ... ...
이전4444454464474484494504514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