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워낙 미약해 정밀한 측정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최근 미국의 연구자들은 플라스크 ‘
우주
’의 구성성분인 액체와 기체의 조성을 바꿈으로써 빛의 세기가 수천배 더 밝아져 맨눈으로도 보이는 ‘별’을 만드는데 성공해 음파발광이 일어날 때 내부변화를 최초로 분석했다고 ‘네이처’ 3월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별자리 하나씩을 옮겨가는 별이란 뜻이다. 목성은 왜 일년에 별자리 하나씩을 옮겨갈까?
우주
저편 멀리 있는 별들은 지구에서 거의 무한대의 위치에 있는 것과 같아서 눈으로 볼 때 그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하지만, 태양계 내의 행성들은 행성 그 자체의 움직임과 지구의 움직임 때문에 별에 대해 ... ...
BBC 과학과 자연 - 멀티미디어로 즐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있다. 또한 몇시간 주기로 업데이트 되는 지진 발생지역과 지진 강도, 태양의 위치, 국제
우주
정거장(ISS)과 인공위성 궤도, 낮과 밤 등 지구가 변하는 모습 등이 바탕화면에 나오게 할 수도 있다.이때 위성 정보나 구름 사진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업데이트 주기를 효율적으로 ... ...
태양보다 15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질량은 태양 질량의 10분의 1이다. 그렇다면 최대 질량은?미국 항공
우주
국(NASA) 볼티모어
우주
망원경과학연구소의 도널드 피거 박사팀은 태양 질량의 150배 정도가 정답이라고 ‘네이처’ 3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별의 최대질량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허블망원경을 ... ...
화성은 불의 행성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물이 있다는 증거가 쌓이면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유럽
우주
국(ESA)의 화성탐사선 ‘마르스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낸 고해상도 입체영상과 데이터를 분석한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빙하의 이동, 기후 변화, 화산 활동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을 ... ...
첨단식물의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간염을 예방하기 위해 주사를 맞겠습니까, 감자를 먹겠습니까? 생태계를 지켜온 식물이 21세기 들어 첨단공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먹는 백신용 감자가 나오고 오이에서 사람의 단백질을 ... 치료할 녹색 처방전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
정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유채기름으로 도로를 누빈다따사로운 봄 햇살을 만끽하며 나들이 길에 나선 차세대씨. 자동차에 연료를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렀다. 차세대씨는 휘발유, 경유 주유기 앞을 모두 지 ...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
정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큰 대역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들 주파수 영역은 인공위성과의 교신이나
우주
전파를 연구하는데 주로 국한돼 왔다. 그만큼 기술적인 한계가 많다는 얘기. 이 때문에 이들 주파수 영역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나라수도 선진국을 제외하곤 극히 제한돼 왔다. 주파수 고속도로를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은하 100여개는 가장 멀리 있는 은하들이다.
우주
의 나이가 겨우 8억살일 때의 모습이다.
우주
의 나이가 137억살인 점을 감안하면 무척 어릴 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또 가까운 은하들은 더 크고 밝으며 나선형이나 타원형을 하고 있다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우주
모델은 자연스럽게 동적인 허블 모델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1990년 4월에 발사한
우주
망원경의 이름에‘허블’이 들어간 것은 이런 허블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입니다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