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구의 중심 0에 대한 대칭점 P′를 같은 것으로 간주 한다. 즉 P와 P′를 합쳐서 한점으로
본
다. 물론 다른 모든 '점'도 이와 같이 다루고 있다. 만일 P와 P′를 다른 점으로 간주하면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이 무수히 많아지게 돼 "두개의 서로 다른 점은 항상 하나의 직선을 결정한다"는 공리에 어긋나기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수 있다. 로버트 번햄에 따르면 이 별을 확인한 최소 구경의 망원경은 32㎝굴절(6백배로
본
기록)이지만 1959년에는 아리조나에 있는 1m 망원경으로도 식별하기 어려웠다고 한다.현재 이 성운의 알려진 육안광도는 15.4등급이며 사진광도는 14.4등급이다. 많은 아마추어들이 이 별을 보려고 하는데,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전화벨이 울렸다. 그때부터 전화벨은 끊이지않고 울려댔다. 성공한 것이다.컴퓨터의
본
고장 미국을 무대로 근 50년 동안 계속되어온 해커의 역사는 그 자체가 컴퓨터의 역사라 할 수 있을 정도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해커들도 많은 변화를 보이게 되지만 그 과정에서 우리는 하나의 공통요소를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원폭피해자인 중국도 남북한을 선례로 보상문제를 제기해올지 모른다는 계산 때문에 일
본
정부의 행동반경은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는 예측역시 가능하다.그러나 현실적인 여건이 어렵다해도 남북 의사들의 공동결의는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피폭자문제에 대한 남북의 공동 대응은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Star)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아마 이 별이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이 때부터가 아니었나
본
다. 그 후 이 별이 결정적으로 유명해지게 된 것은 1838년 독일의 천문학자 베셀(F.W.Bessel)이 삼각 측량법을 이용해 처음으로 별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 이 별이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측정 된 바로는 이 별까지의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말로 '하강하는 독수리'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아라비아 인들이 이 별자리를 독수리로
본
데서 비롯됐다. 베가의 엄밀한 밝기는 0등급이며,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26광년이다. 이 별은 태양보다 대략 3배 정도 더 무거우며 50배 정도 더 밝다. 1983년 적외선천문위성 IRAS(Infra-Red Astronomy Satellite)는 베가가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상대적 위치에 따라 달처럼 위상 변화를 한다(그림5). 연수회 때 천체 망원경을 통해
본
금성은 반달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즉 금성은 당시 동방최대이각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말 할 수 있다. 반달처럼 보이는 금성의 모습은 천문학의 역사에서 매우 의미심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바로 이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초등학교의 컴퓨터실은 모든 학교가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기
본
시설은 아니다. 한가지 인상적인 것은 컴퓨터실의 배치는 교사나 학생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학습환경이 경직되지 않고 자유롭다는 것이다.중학교 단계에서도 공식적인 교육과정속에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진화론에 대한 발표 및 토론회를 가졌다. 이 회의에서는 1940년대 이후 30여년간 진화론의
본
류를 이뤘던 종합학설에 입각한 연구결과가 중점적으로 검토됐다.여기서 나온 한가지 주목할 학설은 생물의 진화가 점진적인 변이의 축적에 따르지 않고 급진적으로 신종(新種)이 형성되며 일단 새로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정도였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규모 또한 작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일
본
운젠화산 분출은 비폭발적이어서 그 연직분출이 성층권으로 분출물을 침투시킬 정도는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분출량과 성층권 진입량에 대한 정량적 정보는 아직 알 수 없다).이같은 정보에 근거한다면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