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다중우주 아이디어는 한두
가지
가 아니다. 이 기사에서 소개할 아이디어만 여섯
가지
이며, 소개하지 않은 아이디어도 여럿 있다. 소개한 아이디어와 비슷하지만 세부사항이 다른 다중우주가 여럿 있다.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방법은 없을까.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막스 테그마크 미국 MIT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대응하는 물리적 우주가 있는지의 차이 정도다.등장 상상 가능한 모든 우주를 만든다.두
가지
입장 중 ‘물리적 우주가 있고 수학은 설명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제외하면, 우주는 곧 수학과 동일해진다. 즉 수나 방정식, 함수가 존재하면 대응하는 물리적 실체를 찾을 수 있다(실제로 입자물리학의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가지
를 반쯤만 부러뜨리고 엮어 기초 구조를 단단하게 만든다. 그 위에 잎이 무성한 잔
가지
를 얹어 푹신한 잠자리를 만든다. 완성된 둥지는 길이 1m에 폭 80cm 크기의 눕기 편한 타원형이다. 연구팀은 “어린 오랑우탄이 어른 오랑우탄이 지은 집을 한 번 보고 나면 솜씨가 달라진다”며 “집 짓는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떻게 장미의 유전자 틈에 집어넣었을까.유전자조작을 하는데 쓰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다. 하나는 식물 뿌리에 종양을 만드는 세균인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Tumefaciens)을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유전자 총(gene gun)’을 쓰는 방법이다.아그로박테리움이 식물에 종양을 일으키는 까닭은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 트랜지스터는 채널이 평면이어서 전자가 지나는 길도 한
가지
였다. 3D 트랜지스터는 양쪽 옆과 상단을 합해 3면으로 전류를 흘려 보낸다.전류가 흐르는 채널이 고가도로처럼 솟아오르면서 실리콘 웨이퍼 아래로 새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채널이 짧은 동시에 ... ...
통합과학 - 나노입자와 세포분열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화학Ⅰ에서 배운 물의 표면장력이 생기는 원인을 나노 입자의 성질과 연관시킨다. 불어서 생물Ⅰ에서 배우는 세포 분열의 의의를 여러
가지
문제를 통해 살펴본다.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과산화수소를 분해한다. 이처럼 과산화수소가 아니더라도 산소를 발생 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과산화물이면 모두 루미놀과 반응해 청백색 빛을 낸다. 전기 발광(Electroluminescence) 어떤 특정한 결정 내에서 전자의 흐름에 따라 빛이 발생하는 것이다. 전기 에너지를 직접 가시광선으로 바꾼다. 양극과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유사한 점도 많다. 그러나 집단선택론이 옳든, 유전자 선택론이 옳든지 간에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 살아가는 모든 생물들은 모두 소중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개미 한 마리도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되는 이유다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코브라 독에서 신경을 마비시키는 코브로톡신 역시 통증을 마비시키는 효과를
가지
고 있다. 하지만 두 종류 모두 1970년 미국식품의약청에서 감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판매가 금지됐다. 최근 킹코브라 뱀독에서 분리한 하날제식은 부작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진통제로 모르핀보다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는 이미 컴퓨터의 분석 속도가 대용량의 실험 데이터를 따라
가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그래서 데이터를 여러곳의 컴퓨터에서 나눠서 계산하는 새로운 계산 방식을 개발했다. CERN은 지금도 거대강입자가속기(LHC)의 네 개 검출기에서 생산되는 매해 13PB(페타바이트,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