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컴퓨터시대에 부활된 선사시대의 유물
과학동아
l
199703
아이콘은 조물주가 이 세상을 창조할 때부터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들은 표정, 자세, 손가락 등을 통해 의사소통을 했고 그들의 생각이나 관념을 전달하고 기록하기 위한 방법들을 탐구해 왔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아이콘의 조상인 그림이다. 그림은 고대 인간들이 사용했던 최초의 기록방법이 ... ...
마늘냄새에 담긴 비밀
과학동아
l
199703
구체적인 대사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얼마 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대학
의 한 연구팀은 마늘을 먹은 사람들이 숨을 내쉴 때 풍기는 냄새 성분을 조사했다. 그 결과 냄새가 마늘 자체로부터가 아니라 몸에서 대사과정을 거친 마늘 성분에서 나는 것임이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 ... ...
기억력 향상시키는 약 개발
과학동아
l
199703
대상으로 본격적인 임상실험을 할 예정이다.안파카인CX-516은 캘리포니아
대학
어바인분교의 게리 린치박사가 발명한 기억력 향상제. 이미 여러 실험에서 사람들의 기억력을 향상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 린치박사팀은 건강한 20대의 젊은이와 65-70세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이 약을 준 후 의미없는 1 ... ...
Ⅱ.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은 전자의 본질
과학동아
l
199702
전자는 크기를 측정할 수 없는 미스터리 기본입자이다. 또 전자는 붕괴되지 않지만 생성되고 소멸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전자의 성질과 전자가족은 무엇이고, 앞으로 밝혀야 할 전자의 본질은 무엇일까.모든 물질을 이루는 기본단위가 원자라는 사실은 낡은 지식이 되어버린 지 오래다. 원자의 성 ... ...
온라인교육, 교실교육보다 효과있다
과학동아
l
199702
처음으로 가상교육 연구에 양적 데이터를 제공한 것으로 주목된다. 지금까지 수많은
대학
들이 온라인 교육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엄청난 양의 돈을 퍼부었음에도 단편적인 데이터를 제공했을 뿐이었다.슈트교수는 이같이 기대하지 않았던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은 가상교실 안에서 ‘온라인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02
셔츠가 아니면 터틀 넥의 스웨터에다 황갈색 골덴 상의를 걸치고 다녔다. 그래서 코넬
대학
생들은 그를 ‘옐로우 칼’(노란 옷을 입은 칼 세이건)이라고 불렀다.그러나 이젠 옐로우 칼을 볼 수가 없다. 1994년 그는 척수형성부전이란 병으로 두번이나 죽음의 고비를 넘겼다. 한때 그의 누이로부터 ... ...
인간 능력의 또다른 척도
과학동아
l
199702
진행 중이며, 완전한 정서지능 검사도 곧 일반인들에게 소개될 예정이다.(표2)(표2) 서울
대학
교의 문용린 교수가 현재 유아, 초등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정서 지능 측정 도구의 일부이다. 이 검사는 유아용 검사의 일부이다. 이를 통해 정서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1.나는 재미있게 장난감을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02
인광 사이에 딱딱한 물체를 놓으면 벽에 그늘이 지는 것을 발견했다. 1876년 브레슬라우
대학
에 있던 오이겐 골드슈타인은 밝은 광선(빛살)에 ‘음극선’이란 이름을 붙였다. 그는 후에 양성자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진공 방전관인 크룩스관을 발명한 영국의 윌리엄 크룩스는 1879년 전기분해현상과 ... ...
마이다스동아
과학동아
l
199702
교수(신경정신과)가 권하는 스트레스 해소법이 들어 있으며, 장수 상식에는 서울대 보건
대학
원의 허정 박사가 풀어놓은 여러 상식들이 차려져 있다. 경희대 한의대 교수진이 제공하는 한방 상식은 요즘 크게 높아진 한방에 대한 일반의 관심을 속시원히 풀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직장인들로부터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02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다채널 외계탐사용 간섭계(META)를 이용한 것으로 1985년 하버드
대학
물리학과 교수인 호로비츠의 주도로 추진됐다. 세이건과 호로비츠는 세계에서 가장 큰 천문단체인 행성학회의 후원을 받아 7년 동안 지속적으로 하늘을 탐색했다.파장이 21cm인 중성수소가 내는 전파를 주로 ... ...
이전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4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