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5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상+] PS100...포스텍 스타트업 스토리동아사이언스 l2020.03.19
- 포스텍 출신의 스타트업(창업초기 벤처회사)과 벤처 100곳을 발굴해 소개합니다. 창업한 지 얼마 안된 스타트업부터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에 도전 ... 반려동물 식이 알레르기 검사 패치 □ 이준호 플라스크 대표 포항공대 17학번 컴퓨터공학과 네이버 D2SF 입주하여 서비스 개발 중 ... ...
-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장에 김법민 고려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0.03.18
-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 고려대 제공 김법민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가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단장으로 임명됐다. 고려대는 김 교수가 이달 16일 사업단장으로 임명됐다고 18일 밝혔다. 임기는 임명일로부터 2년이다.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은 글로벌 수준의 ... ...
- 박규해 전남대 교수 원안위 위원 추천안 국회 본회의 가결동아사이언스 l2020.03.18
- 연구기관으로 알려진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에서 근무하다가 2012년 전남대 공대 기계공학부 정교수로 부임했다. 박 위원이 이번에 선임되면서 원안위는 위원 9명 자리를 모두 채우게 됐다. ... ...
- 코로나19 백신 첫 임상시험 미국에서 시작동아사이언스 l2020.03.17
- 코로나바이러스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모습(먼 그림)과, 인체 세포 침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오른쪽 앞)의 모습을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NIH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를 예방할 백신이 전무한 가운데, 미국에서 개발 중인 ... ...
- UNIST재학생, 지역 '코로나19 정보' 지도 웹사이트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0.03.17
- UNIST)은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재학생 김지완 씨와 창의디자인공학과 김태윤 씨, 경영공학과 전대성 씨가 감염병 예방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웹사이트 ‘울산 코로나맵’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김 씨 등은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각 지역별 정보에 세세한 차이나 오류가 ... ...
- 김서림 없는 고글·전해 살균수…코로나 극복 위해 서랍속 출연연 연구성과 다꺼낸다동아사이언스 l2020.03.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빅데이터 기반 전염병 확산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안전시설 활용 진단, 백신 및 치료제 개발기업 지원 등이 포함된다. 유형C는 KIST의 김서림 방지 의료용 고글 기술, 재료연구소의 직수 전해살균수 생성기 및 전해살균수 기술이 ... ...
- [과학게시판] 2020년도 정책연구 수요조사 실시 外동아사이언스 l2020.03.16
- UST)는 UST 출신 졸업생 3명이 최근 국내외 대학교수로 임용됐다고 16일 밝혔다. 나노바이오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박경숙 졸업생은 올해 3월부터 대전보건대 전임교원으로 임용됐다. 파키스탄 국적의 주바이르 칸 졸업생은 신에너지및시스템기술을 전공하고 올해 1월부터 파키스탄 ... ...
- [영상+] 인공지능으로 애니메이션을 쉽고 빠르게...이준호 플라스크 대표동아사이언스 l2020.03.16
- 기업가의 꿈을 갖게 된 계기와 실현과정 Story "이 영상을 볼 학생들 중에는 기술창업을 꿈꾸는 학생들이 많을 것 같다" 플라스크는 인공지능을 ... ] 웹툰에 동작을 입히는 AI 애니메이터 □ 이준호 플라스크 대표 포항공대 17학번 컴퓨터공학과 네이버 D2SF 입주하여 서비스 개발 중 ... ...
- [영상+] “매트 하나로 영유아 돌연사 막을 수 있다” 장세윤 마이다스 H&T 대표동아사이언스 l2020.03.16
- 대한 아이디어를 멋지게 구현했다. □ 장세윤 마이다스H&T대표 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석사과정 2년차 2018 포스텍 대학창업펀드 1호 투자유치 2018 중소벤처기업부 연구마을 참여 2018 TIPS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선정 └20대 학생 창업가는 왜 영유아 돌연사 방지매트를 만들게 됐나 ... ...
- 이산화탄소, 석유화학산업 핵심원료 '에틸렌'으로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20.03.16
- 그 효율이 떨어지는 게 문제점으로 꼽힌다. 함께 연구에 참여한 정형모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기존 구리 촉매는 20% 정도의 효율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구리 원자 사이에 1nm (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미만의 좁은 틈에 주목했다. 정 교수는 “이 원자 틈이 이산화탄소 분자 ... ...
이전4434444454464474484494504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