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기술은 다른 분야와 달리 급진적 변화가 흔치 않기 때문에 보수적이기 쉽죠. 게다가 생명
공학
제품이 소비자에게 연결되기까지는 너무나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므로 바이오벤처는 기술을 변화시키기보다 시장 자체를 변화시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발명에 의해 이끌어진다 것이 다이슨의 예측이다. 현재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컴퓨터
공학
, 유전자과학, 신경과학 등이 도구에 의한 혁명의 예가 된다.다이슨에 따르면, 과학의 성장을 가져오는 또다른 원동력은 과학의 스타일이다. 여기에는 ‘나폴레옹 스타일’과 ‘톨스토이 스타일’이 있다. ... ...
2백60억원짜리 최초 민간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곳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기에는 부족하다. 그래서 일본 소니연구소의 세계적인 영화
공학
자와 협력해 최신 카메라를 준비중에 있다. 또한 카메라를 싣고 ISS의 내부를 날아다닐 원격작동기구도 건설하려고 한다. 타이타닉의 멋진 첫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러시아의 난파 잠수함 속에 뛰어들었던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는 연신“와우”하며 기쁨을 표현했다.본상 시상에서 우리나라의 박영준군은
공학
분야의 4등상을 따냈다. 그는“너무 빨리 불려져서 아쉬웠어요”라며 수상소감을 표현했다. ‘좀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준비를 철저히 했더라면’하는 아쉬움을 계속 감추지 못했다.연구결과가 특허출원으로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센서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이들 모두가 요즘 흔히 이야기하는 IT(정보통신)와 BT(생물
공학
)를 접목해 개발해야 하는 최첨단 신기술에 관련된다. 이들을 넓은 의미에서 바이오센서(bio-sensor)라 한다. 첨단 바이오센서의 세계로 들어가보자.경찰견과 미생물의 공통점바이오센서라는 단어에는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원자핵
공학
을 전공했고 플라스마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자신은 완전
공학
자도 순수 물리학자도 아니다. 그런데 이것이 바로 가속기개발의 원동력이었던 것 같다”고 말한다. 가만히 책상에만 앉아서 자신의 분야라고만 생각하는 연구에 몰두했다면 결코 가속기 건설에서 큰 몫을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생물의 호르몬 단원 및 생물Ⅱ의‘ 생물의 항상성 ’파트에 나와있다. 피드백의
공학
적 응용에 대해서는 교과과정에는 나오지 않는다. 일부 교과서에 바이메탈 스위치가 소개돼 있는 정도다.생각해볼문제■소변을 보고 나면 몸이 떨리고, 추우면 소름이 돋는다. 이러한 현상이 왜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단순하게 자연과학을 하는 것이
공학
을 하는 것보다 좋아보였어요. 아버지도
공학
보다는 순수학문을 하는 것이 낫겠다고 하셨어요. 그리고 형이 생물학을 했기 때문에 같은 것은 하기 싫었던 면도 있었던 것 같아요”라면서 그래서인지 동생은 선택의 여지없지 물리학을 전공했다며 웃는다.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있는 대상을 갖고있지 않다고 봅니다.문 : 아, 그러니까 독립된 분야이긴 한데 과학이나
공학
의 영역에서는 중요한‘방법’으로 쓰인다는 말인가요?답 : 예.문 : 그러면 수학은 과학 연구에 필수적인 건가요?답 : 꼭 그렇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역사적으로 봐도 천문학이나 역학 같은 분야에서는 ... ...
DNA 백신 허파에 전달하는 스프레이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많은 약물을 이렇게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화학
공학
과 학부생인 에릭 크라우랜드가 그 화제의 주인공.허파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기관으로 흡입된 산소는 허파의 모세혈관을 통해 신체의 구석구석까지 퍼진다. 약물도 이렇게 흡입되면 복용하는 ... ...
이전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4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