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루 다이아몬드, 붉은빛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인광을 띠지만 붉은빛이 섞인 정도가 달라 인광의 색조가 미묘하게 다르다. 포스트
박사
는 “인광을 분석하면 개별 블루 다이아몬드를 구별할 수 있다”며 “인공적으로 만든 블루 다이아몬드는 이런 현상이 없기 때문에 모조품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설계해 합성했다. 지금까지 수천 가지 분자를 만들어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최
박사
는 “T-타입 칼슘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통로가 열리지 못하게 하는 분자를 다수 찾아냈다”며 “현재 동물을 대상으로 실제 통증자극을 줬을 때 억제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선별된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박물관의 다양한 소장품을 보여주고, 같이 화석을 발굴할 기회도 제공한다. 세르게이
박사
도 어렸을 때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고생물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회고했다. 이번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에서도 고생물학의 연구과정을 알 수 있는 ‘어린이 고생물학자 체험교실’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영어논문작성법 특강’등 활발한 강의를 ...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알아듣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사우스앨라배마대학교의 조앤 시넛
박사
팀은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놓고 실험을 했어요. 미리 녹음해 둔 사람 모음 소리를 계속 들려 주며, 특정한 모음 소리가 날 때 먹이통에 먹이가 들어 있다는 걸 알게 했지요. 모음 10쌍을 바꿔가며 ... ...
“혼자서도 잘 해요” 로봇 시큐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KIST) 인지로봇연구단 강성철
박사
팀이 개발한‘시큐로’는 센서로 주변을 탐지하는 무인주행로봇이에요. 레이저 센서, GPS 정밀 센서 등을 이용해 주변의 물체를 탐지해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어요. 시험 주행에서 어른이 걷는 속도인 시속 5.4㎞로 이동하는 데 성공했지요.시큐로는 기존의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70~80개의 염기로 이뤄진 tRNA가 집중 표적이 됐다.
박사
학위를 마치고 MIT 생물학과에
박사
후 연구원으로 들어간 김 교수도 대망을 품고 이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런데 단백질과는 달리 tRNA는 결정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많은 과학자들의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tRNA를 결정으로 만드는데 번번이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명현상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1995년 스위스 폴리머 연구소의 피어 루이지
박사
팀은 세계 최초로 리포솜 안에서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하며 인공 세포막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리고 2007년 6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렸던 제3차 세계합성생물학회에서 이탈리아 로마 제3대학의 지오반니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활발히 경쟁할수록 병원균의 침입에 강해지기 때문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영효
박사
는 “생균제 사료는 장 속 미생물의 균형을 맞춰 장 건강을 지킨다”며 “생균제 사료는 화학약품이 안 들어있어 내성도 안 생긴다”고 말했다.혐기성 미생물은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산화물로 에너지를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독도라는 이름이 붙은 해양물리현상도 등장했다. 독도 주변의 해류를 연구 중인 이재학
박사
는 해저 울릉분지에서 북쪽으로 최대시속 1km로 흐르는 심층류를 ‘독도심층류’라고 명명했다. 이 해류의 성분을 분석하면 울릉분지 남쪽에 위치한 해양폐기물 투기장에서 어떤 물질이 유출되는지 알 수 ...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