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등 통증,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간 목 디스크 될 수도
동아일보
l
2015.01.14
퇴행이 빨리 일어나 목 주위 뼈 배열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목뼈가
일자
로 펴지는
일자
목 현상이 심할 경우 목 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다. 문동언 문동언마취통증의학과의원 원장은 “목 디스크일 경우 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지고 통증이 어깨나 팔로 뻗치거나 저려온다”며 “특히 ... ...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01.14
pixabay 제공 수각류(이족 보행한 용반류) 공룡으로부터 조류가 진화했다는 가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90년대 중국 랴오닝성 등지에서 깃털 달린 공룡이 발견되며 새의 공 ... 빠른 속도로 종이 분화한 사실과 일치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BMC유전학저널’ 12월 11
일자
에 발표됐다 ... ...
“가장 큰 바다생물은 바로 나!”
2015.01.13
“바다에서 사는 동물 중 가장 큰 동물은 무엇일까?” 단순한 질문이지만 이 질문에 답을 하기는 쉬운 일은 아니다. 최근 미국 듀크대, 뉴멕시코대 등의 학부생과 대학원 ... 알려진 상어, 오징어 등 20여 종의 몸 크기를 비교·분석해 과학학술지 ‘피어제이(PeerJ)' 13
일자
에 발표했다.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활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2
일자
에 게재했다.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라고 부르는 이 단백질은 이전부터 뇌에서 학습과 기억, 항우울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연구진이 쥐의 심장 세포를 이용해서 실험한 결과 ... ...
새해 목표 1위 ‘금연’ 과학적으로 성공하려면
2015.01.13
먹는 약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란셋 호흡기의학’ 12
일자
에 발표했다. 니코틴 성분을 얼마나 빠르게 분해해서 배출하는지를 따져 보조제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니코틴 분해 속도가 다른 금연 도전자 1246명을 대상으로 알약과 니코틴패치, 가짜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2014년 12월 16
일자
에 실렸다. 키토산은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소재라 전자소재는 물론 식품포장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 데일리는 스페인 바스크대 연구팀이 어린 아이들이 먹는 음식을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말이다. ●면역반응 촉진하기도 병 주고 약 준다고 2주 뒤인 ‘사이언스’ 12월 19
일자
에는 레트로트랜스보존의 긍정적인 역할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즉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항체를 만드는 B세포의 성숙을 돕는다는 내용이다. 교과서를 보면 항원-항체 반응은 적응면역계로 T세포의 안내를 ... ...
이번엔 무슨 그래핀? ‘포스트 그래핀’!
2015.01.09
생산할 수 있는 ‘탠덤 분자 박피 방법(TMI)’을 개발하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
일자
에 발표했다. 탄소 원자의 육각구조로 이뤄진 그래핀은 전도성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강도와 유연성이 좋아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하지만 반도체로서의 활용도는 떨어져 전자소자로 개발하는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존 개브리엘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신경과학 분야 최고 학술지 ‘뉴런’ 7
일자
에 밝힌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이다. 개브리엘리 교수는 “뇌 영상 기술이 발달하면서 뇌를 관찰해 미래의 건강상태는 물론이고 학습능력, 범죄 가능성까지 예측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밝혔다. ● ... ...
내 이름은 ‘봉우리’, 내 임무는 센서~
2015.01.08
뇌 속 신경세포는 자극이 생기면 전압 변화(활동전위)가 생긴다. 최근 브래들리 베이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이 활동 ...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저널 오브 뉴로사이언스(Journal of Neuroscience)’ 7
일자
에 실렸다.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