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할지 제시하고,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 기초부터 응용까지 차근차근 짚었다. 실험 보고서와 연구 계획서, 논문, 프레젠테이션 등 각 분야마다 글을 잘 쓸 수 있는 팁을 알려준다.큐브제리 슬로컴 지음 | 김경호 옮김 | 보누스 | 144쪽 | 1만 2000원1974년 발명된 이래 10억 명 이상의 퍼즐러들을 매료시킨 ...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장에 따라 포획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는 어디까지인지 실험과 함께 이론적인 계산으로 증명하는 식이다. 이 교수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117인 동위원소 2종을 만들었다고 ‘피지컬 리뷰 레터스’ 4월 9일자에 발표했다. 다른 실험실에서 이번 발견을 재현해야 새로운 원자에 이름을 붙일 수 있다는 국제 규칙에 따라 이 원소는 아직 정식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고 임시로 ‘우눈셉티엄(ununseptium, 약자로 Uus)’으로 불린다.이번 연구를 ...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전달자, 생각하는 주체로 내세운 것이다. 글과 사진뿐 아니라 만화라는 새로운 장르적 실험도 돋보인다. 과학동아와 한겨레신문에 해부학 만화를 연재해 ‘해랑 선생’으로도 알려진 정민석 아주대 의대 교수의 4컷 만화인 ‘꽉 선생의 일기’는 과학계 안팎을 떠도는 오랜 관념과 편견에 대한 ... ...
- 심층면접과 과학캠프 중점 대비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띤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관리부 김상균 부장은“캠프 전형에서 교과 외 지식 평가나 실험 과제는 모두 배제된다”며,“자기소개서와 에세이를 기반으로 학생의 장단점과 가능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심층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캠프 전형을 실시한다. 봉사활동에 대한 평소 생각을 ... ...
-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곧장 공격했어요. 하지만 자외선을 보는 능력을 없애자 아무도 공격하지 않았죠. 또 다른 실험에서는 서로 다른 자외선 파장의 무늬를 그려 넣은 까만색 종이 두 개를 수조에 넣고, 한쪽에만 먹이를 두었어요. 그랬더니 먹이를 없앤 뒤에도 자리돔은 여전히 먹이가 있었던 종이를 알아보고 ...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우리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밤낮없는 연구와 실험을 통해, 가로세로 1㎝ 길이의 작은 면적에 일반 콘크리트의 세 배가 넘는 8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 했다. 그래! 바로 이것이다!빨리 굳는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비밀시멘트는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박 교수는 100nm~200nm 크기의 미세한 기둥을 세운 광결정에 빛을 발생시키고 증폭시키는 실험에 성공해 1μm의 ‘초미니 레이저’를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그런데 최근 공명기의 크기가 레이저광의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가 30μm, 높이가 ...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완벽하게 투명하지 않았다. 완전히 투명하면 그림자가 생기지 않아야 하지만, 실험에서는 약간의 그림자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빛을 흡수했다는 것을 뜻한다. 그뿐 아니라 2차원 평면에 한해 투명하게 모였다. 이처럼 최초의 투명망토는 우리가 상상하는 투명망토와는 상당히 거리가 ...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생체시계를 생각하면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을 검증하는 동물실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약효가 복용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면 주행성 동물인 인간이 복용할 약을 야행성 동물인 생쥐에 투여시켜 그 효과를 제대로 알 수 있겠느냐는 주장이다.그런데 생명체가 굳이 ... ...
이전4414424434444454464474484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