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잃지 않는 이유 중 하나도 이러한 일상에서 오는 작은 행복 덕분일 것이다. [기사에 나온
사진
과 자료는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라는 책을 펴낸 윌북에서 제공했습니다. 이 책은 미국 뉴욕공립도서관에서 ‘청소년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로 선정됐습니다. ... ...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다는 연구 결과를 5월 초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 스캔
사진
을 공개하며 자신의 얘기를 떠들어 대면 뇌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에서 쾌감을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다.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의 뇌 자기공명영상(fMRI)을 모니터링한 결과, 일반적으로 자기 얘기를 할 때 ... ...
과학특별시로 지금!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탐사의 기회까지 잡을 수 있어요. 해외 탐사 후에는 동아사이언스 잡지에 자신의 글과
사진
이 실리는 특별한 포트폴리오도 남길 수 있어요. 놓치면 두고두고 후회할 기회! 늦지 않았습니다. 과학특별시에서는 편집장과 함께 떠나는 해외 탐사 BIG3 이벤트가 열리고 있어요 ... ...
금성의 '미니일식'을 만나자! 태양일식 관측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현충일인 6일, 금성이 태양 위를 통과하는 보기 드문 ‘우주쇼’가 펼쳐진다. 달이 태양 전체를 가리는 일식에 비해, 금성이 태양의 일부분을 가리는 현상이니 ‘미니 일식’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 같다. 다음 현상은 2117년에나 볼 수 있으니, 일생에 단 한번 만날 수 있는 진귀한 기회다. 우리나라에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판단의 근거를 제시했다.스트리트 뷰는 인터넷에서 길거리의 모습을 360° 실사
사진
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360°를 촬영할 수 있는 특수차량으로 실제 거리를 돌아다니며 무선랜 접속장치(AP)의 시리얼 번호를 함께 수집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개인의 통신기록과 정보가 함께 무단으로 수집됐다는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전송속도 1kbps(초당 1킬로비트를 전송하는 속도). 단문 서비스(SMS)의 기본 데이터양인 2바이트(1바이트 = 8비트) 문자 한글 40자를 보내는데 0.6초 밖에 걸리지 않지만, 초당 100메가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지상의 LTE 기술에 비하면 10만 분의 1밖에 안 되는 매우 느린 속도다. 이 속도가 바로 현대 기술 수 ... ...
압력으로 ‘킬힐’ 풀어내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작년 과학동아에 ‘하이힐’ 기사가 나왔다. 하이힐을 신은 여성의 발모양을 찍은 X선
사진
을 보니 문득 ‘압력’이란 단어가 떠올랐다. 압력과 하이힐, 둘 사이의 색다른 만남은 다른 궁금증을 낳았다. 궁금증은 새로운 검색키워드로 이어진다. MIE를 반드시 하나의 기사에서 끝낼 필요는 없다. ...
날아라, 모스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섭섭박사님? 그동안 대체 어디 계셨었어요? 이 비행기는 또 뭐고요?”“그냥 비행기가 아니라 ‘모스 글라이더’야! 얇은 몸체가 공기 흐름에 따라 미끄러져 날아가는 특수 비행기지. 여행을 좀 가려고 했는데 도무지 멀리 못 나는구만! 그래, 정환이 네가 날 좀 도와야겠다. 어떻게 하면 이 비행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3월 8일자에 논문이 실리기도 했지요. [네이처에 실린 중생대 벼룩 화석 (아래
사진
). 아래는 화석을 바탕으로 스케치한 모습이다. 현대의 벼룩(왼쪽
사진
)과 크기와 모양을 비교해 볼 수 있다.]공룡 피 빤 거대 벼룩일단 제 모습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몸통은 수직 방향으로 납작하게 눌려 있는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로봇을 만들어 5억 원에 판매하고 있지. 재미로 로봇을 만들다가 판매까지 하게 됐대.
사진
은 아이들이 탈 수 있게 만든 ‘키즈워커’야. 안돼! 난다는 건 허무맹랑?로봇 과학자들은 만화 속 거대로봇이 하늘을 나는 기술이 가장 현실적이지 못하다고 해. 하늘을 날려면 뜨는 힘인 양력을 충분히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