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뒤에 우리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태양계와 90° 떨어진 곳을 강타할 것으로 보인다. 록맨
박사
는 “이때 생긴 충격으로 수많은 별이 빠른 속도로 새로 태어날 것”이라며 “밤하늘 은하수에서 거대한 ‘폭죽놀이’를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
후각 무디게 하는 '몸속 반란' 우울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기분을 전환하기 위해 정상인보다 더 많은 향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쉔펠드
박사
는 “라벤더향은 무뎌진 후각 세포를 자극해 우울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며 “다른 향은 어떻게 우울증을 완화시키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연구팀은 후각 검사를 활용해 쉽고 빠르게 ... ...
욕 속에 독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욕의 순기능 때문이다. 욕은 일반 언어보다 기억에 오래 남는다. 영국 런던대 존 드웨일
박사
는 2004년 욕을 기억하는 것은 보통의 단어를 기억할 때보다 4배 쉽다는 연구결과를 언어심리학 저널인 ‘다언어와 다문화 발달’에 발표했다. 강조하고 싶을 때 ‘꼭 기억해’보단 ‘기억 못 하면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딸 때까지 공부에만 전념하기 위해 짐을 꾸릴 때 기타를 슬그머니 뺐다. 하지만
박사
후연구원이 된 뒤 생활이 안정되자 다시 음악에 대한 그리움이 몰려왔다.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못 지나간다고 조 교수는 학교 근처 악기점에서 1000달러 정도 주고 중고기타를 구입했다. 윤기가 흐르는 밤색 빛깔의 ... ...
즐거운 동물이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즐거움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한다. 1950년대의 저명한 동물행동학자인 마이어 홀츠압펠
박사
는 코끼리물고기를 어항에 서 기르며 공을 넣어줬다. 혼자 어항에 갇혀 지내는 지루함을 덜기 위해서였을까. 코끼리물고기는 공을 툭툭 건드리며 놀았고 공위에 올라타 균형을 잡기도 했다. 이러한 행동은 ... ...
주사바늘의 고통이여, 안녕~!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티타늄으로 만든 미세주사바늘로 살갗을 찌를 때 부러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나라얀
박사
팀은 유기고분자와 세라믹으로 이뤄진 복합 재료에 파장이 펨토초(1000조분의 1초)로 아주 짧은 레이저를 쏴 쉽게 부러지지 않는 미세주사바늘을 만들었다.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나 세라믹 복합체에 파장이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목화의 잎을 공격하는 해충의 알을 먹어 치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보도했다.판넬스틸
박사
는 수년간 나비목 해충들의 알을 먹는 포식자에 관한 연구를 해오다 2006년 여름, 텍사스에서 새로운 포식자인 ‘아시아바퀴’(Blattella asahinai)를 발견했다. 아시아바퀴는 알을 먹어치워 목화의 주요 해충인 ... ...
건축가 달팽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잇달아 찾아낼 수 있었다. 왜 이렇게 복잡한 구조의 껍데기를 만들었을까. 클레먼츠
박사
는 “달팽이가 물에 빠져 허우적댈 때 몸을 띄우는 데 도움이 됐거나 천적을 만났을 때 몸을 더 커보이게 했을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아직 껍데기의 주인공을 직접 보지 못한 연구팀은 진흙 사이에 숨어있는 ... ...
"경제와 삶의 질 원천은 기초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구축’, 한국 고유의 체질의학인 사상의학의 진단을 표준화하는 한의연 김종열
박사
의 ‘이제마 프로젝트’등이 눈에 띈다.유 이사장은 과학기술처 사무관을 시작으로 32년간 과학기술부에 몸담으면서 과학기술부 차관까지 오른, 자타가 인정하는 ‘과학기술맨’이다. 대덕단지의 마스터플랜을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분자의 구조를 파악하는 장비다. 그런데 분자의 크기가 크면 NMR로 구조를 알기 힘들다.
박사
후연구원 시절 NMR을 뒤로 하고 X선 결정학에 뛰어들었다. 그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전달RNA(tRNA)의 구조를 밝혀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김성호 교수다.파장이 짧은 X선을 이용하면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